포스코그룹, 사장단 인사 단행…위기관리‧성장에 초점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12-27 16:52:48
  • -
  • +
  • 인쇄
후속 임원 인사는 내년 1월 중 실시

포스코그룹이 정기 임원 인사에 앞서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고 27일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내년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안정 속에서도 위기 극복과 미래 성장을 위한 인사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 (왼쪽부터)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팀장, 김준형 포스코케미칼 사장 [포스코그룹 제공]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팀장에는 정기섭 현 포스코에너지 사장이 선임됐다.

정기섭 신임 팀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 경영기획실장과 포스코 국내사업관리실장, 포스코에너지 대표 등 그룹사를 두루 거친 대표적인 재무 전문가다.

그는 그룹 내 사업 현장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구조조정 경험이 풍부해 그룹 차원의 위기관리와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큰 역할을 해 줄 것으로 평가받았다.

내달 2일 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에너지의 통합법인으로 새출발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신임 대표에는 정탁 현 포스코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선임됐다.

정탁 신임 부회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 쿠알라룸푸르지사장과 포스코 에너지조선마케팅실장, 포스코 철강사업본부장, 포스코 마케팅본부장, 포스코 대표 등을 거친 그룹 내 대표적인 영업, 마케팅 전문가다.

정 부회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에서의 실무경험과 모기업 포스코 대표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합병에 따른 조직을 조기 안정시켜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LNG 밸류체인 확장 고도화와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시장 개척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케미칼 사장에는 김준형 현 SNNC 사장이 선임됐다.

김준형 신임 사장은 SNNC의 니켈 사업을 이차전지와 연계한 고순도니켈사업으로 한 단계 성장시킨 장본인이다. 과거 포스코ESM 대표로서 포스코그룹의 초기 양극재 사업 안정화와 확장에 기여한 바 있는 그룹 내 대표적인 이차전지소재 전문가로 평가된다.

김학동 현 포스코 대표(부회장)는 유임됐다.

김 부회장은 지난 9월 냉천 범람으로 인한 사상 초유의 제철소 침수에도 폭넓은 현장 경험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조업을 조기 정상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내년 조업 안정화 및 친환경 제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성희 포스코건설 사장과 정덕균 포스코ICT 사장, 김광수 포스코플로우 사장 또한 유임됐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가고 있는 점을 감안했다는 게 포스코그룹의 설명이다.

포스코그룹의 후속 임원 인사는 제철소 수해 복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달 중 실시될 예정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양레저,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도 내부 감사 기능 부실 논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동양레저는 경기도 안성 파인크리크CC(27홀)와 강원도 삼척 파인밸리CC(18홀) 등을 운영하고 있는 레저 회사로 최근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 몰린 가운데, 회사 내부의 감시 시스템마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27일 업계에 따르면, 동양레저는 핵심 사업장인 골프장 2곳이 매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사업

2

CARLYN(칼린), 티몰이 뽑은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수상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예진상사의 디자이너 브랜드 칼린(CARLYN)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 티몰(Tmall)이 주관하는 신흥 브랜드 육성 프로그램에서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중국 시장에서 칼린이 거둔 성과와 함께,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티몰은 2025년부

3

“홈플러스는 농협이 인수해야 맞는 시나리오”…10년전 정용진 신세계 회장 발언 주목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홈플러스 인수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27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과 노동계에서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회자되고 있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