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구속] “집행유예 기대했는데…침통·허탈”…삼성 임직원들 “충격”

최낙형 / 기사승인 : 2021-01-18 18:06:12
  • -
  • +
  • 인쇄
2017년 구속 당시 떠올리며 경영 차질 우려도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2년6개월 실형이 선고되면서 삼성 내부는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이날 삼성의 계열사 사장들과 임직원들은 사무실 등에서 긴장된 마음으로 이 부회장의 선고공판 결과를 기다렸다.

집행유예 기대감을 버리지 않고 있던 삼성 임직원들은 실형 선고 소식이 전해지자 침통한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재판에 넘겨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열린 파기환송심에서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 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의 한 임직원은 "이 부회장이 그동안 준법감시위원회를 만들고 노조 설립도 허용하는 등 달라진 모습을 많이 보여줬기 때문에 재판부가 진정성을 인정해줄 것으로 예상했는데 결과가 달라서 아쉽고 허탈하다"며 "직원들이 많이 상심하고 있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또 다른 직원은 "재판부가 준법위 설립을 지시할 때만 해도 국가 경제 차원에서라도 집행유예를 내려줄 것으로 기대한 것이 사실인데 결과적으로 희망고문이 되고 말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삼성 임직원들은 앞으로 1년 6개월간 총수 부재 상황에서 중차대한 회사의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등 경영 차질이 현실화하는 것이 아닌지 걱정했다.

이 부회장이 2017년 구속됐을 당시에도 대규모 투자계획과 중대한 의사결정이 미뤄지고 그룹 인사가 연기되는 등 회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M&A는 오너가 아닌 전문경영인이 결단을 내릴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게 재계의 설명이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는 올해 3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투자를 예고하며 삼성전자와 격차를 벌리고 있는데 당분간 삼성은 총수 부재로 인해 보수적인 경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반도체 외에 이 부회장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제시한 인공지능(AI)과 차세대 이동통신(5G·6G), 바이오 등을 육성하기 위한 신규 투자 계획이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삼성의 한 임원은 "글로벌 시장에 대변혁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 부회장이 2017년 구속됐을 때보다 더 오랜 기간 이 부회장이 자리를 비우게 됐다"며 "앞으로 삼성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이날 준법감시위원회는 이재용 부회장 구속에 대해 "논평할 위치에 있지 않다"면서도 "재판 결과 관계없이 준법감시위원회의 주어진 역할을 앞으로도 계속 흔들리지 않고 성실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낙형
최낙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참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이 연말 여행 수요에 맞춰 국내여행 혜택을 강화해 지역 관광 회복에 나선다 NOL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겨울편에 참여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연중 진행된 민관협력 캠페인으로 올해 마지막 시즌을 맞이했다. NOL은

2

신세계백화점, CJ ENM 협업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백화점이 연말을 맞아 CJ ENM과 팝업을 선보인다. 오는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 오픈스테이지에서는 신세계 자체 캐릭터 푸빌라와 함께 뮤지컬 물랑루즈!의 ‘사틴’, 킹키부츠의 ‘롤라’, 비틀쥬스의 ‘비틀쥬스’가 산타가 되어 특별한 선물을 소개하는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스토어가 펼쳐진다. 이번 팝업에서는

3

한촌설렁탕,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 열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촌설렁탕이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에 첫 참여해 11월 11일(화)까지 국탕류 시그니처 간편식 라인업을 최대 6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고물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가격 부담은 줄이되, 맛과 영양, 품질을 모두 챙기는 '합리적 프리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