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딩엄빠3' 하하 “최악, 더 이상 쉴드 못 쳐” 고딩엄마 남편 음주 행각에 ‘손절’ 선언?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04-05 10:26:1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MBN ‘어른들은 모르는 고딩엄빠3’의 MC 하하가 ‘비즈니스’로 술을 마시는 고딩엄마 남편의 모습에 ‘거울 치료’를 완료한다.

 

▲고딩엄빠3' 임준영 부부의 일상 모습. [사진=mbn 제공]

5일(오늘) 밤 10시 20분 방송하는 MBN ‘어른들은 모르는 고딩엄빠3(이하 ‘고딩엄빠3’)’ 12회에서는 고딩엄빠 부부 김지원X임준영이 동반 출연해, 이들의 일상을 비롯해 현재 가족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고민을 낱낱이 공개한다.

이와 관련 ‘고딩엄빠’의 MC 하하가 끝이 없는 ‘맥주 사랑’을 드러낸 철부지 남편 임준영의 행동을 통해 자신의 생활을 돌아본다. 먼저 이들 부부의 재연 드라마 속에서 남편 임준영은 ‘비즈니스’를 위해 매일 같이 술을 먹고 갈등을 일으키고 있었다. 이를 지켜보던 하하는 “남편분의 모습이 불과 5년 전 나의 모습”이라고 고해성사를 한다.

이에 게스트 랄랄이 “비즈니스 술자리의 심리가 무엇이냐, 도대체 왜 그러는 것이냐?”고 묻자 하하는 “고깃집 사업을 오래 해온 입장에서, 사실을 말씀드리자면 솔직히 핑계다”라고 자폭(?)해 거울 치료에 성공한다. 더욱이 ‘이봉원 아내’ 박미선이 “남자들의 술자리가 궁금해서 참석해 봤는데, 진짜 별 얘기가 없더라”고 덧붙이자, 남성 출연진 모두가 빵 터지며 ‘극 공감’한다.

이어진 일상 영상에서 임준영은 눈을 떠 있는 시간 내내 맥주와 함께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지켜보던 하하는 “준영 씨, 안녕~”이라는 말과 함께 “더 이상 쉴드 못 쳐요”라며 ‘손절’ 선언을 한다. 급기야 임준영의 밤중 기행(?)에 하하는 “뭐 하는 거야? 최악이야!”라며 급발진한다. “남편들이 저지르는 최악의 행동 1위”라는 지적과 함께, 모든 출연진들의 잔소리 폭탄을 부른 임준영의 행동은 무엇이었는지 궁금증이 모인다.

제작진은 “24시간 맥주와 함께하는 삶을 살고 있는 임준영이 아내의 ‘극약 처방’으로 인해 난생 처음으로 여섯 살 아들과 함께하는 1:1 데이트에 돌입했는데, 기상천외한 육아 방식으로 인해 출연진 전원이 머리를 부여잡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철부지 남편 임준영이 ‘고딩엄빠’ 출연을 계기로 ‘갱생’에 성공할 수 있을지, 드라마틱한 변화를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

고딩엄빠 부부 김지영x임준영의 이야기는 5일(오늘) 밤 10시 20분 방송하는 MBN ‘어른들은 모르는 고딩엄빠3’ 12회에서 공개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펑크비즘, 호나우지뉴 쇼 RWA 프로젝트 공개… 브라질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하는 무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펑크비즘(Punkvism)이 또 한 번 새로운 도전을 내놓았다. 바로 ‘호나우지뉴 쇼’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브라질 축구 경기 RWA 프로젝트다. 오는 2025년 11월 9일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브라질 대 스위스 경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투자 상품이 아니라, 세계적인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 뛰고 즐길 수 있는 전례

2

국회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 개최
[메기경제=전창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문대림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모빌리티학회(회장 정구민 국민대 교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회장 김대환), 한국수소연합(회장 김재홍) 등이 주관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가 지난 9월 3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국제 표준 및 규제

3

안호영 환노위원장, “건설현장 안전·노동 문제 해결 국회가 적극 나서겠다”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안호영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오전 11시, 서울 건설회관 8층 회의실에서 대한건설협회 회장 및 임원진 20여 명과 함께 안전 · 노동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호영 위원장을 비롯해 대한건설협회 한승구 회장 , 회원부회장 , 시도회장 등 20 여 명이 참석해 건설업계의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