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무계획2' 곽튜브 "단돈 5천원" 칼국수 맛집에 전현무X정지선 셰프 초대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2 10:38:5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전현무계획2’ 곽튜브의 ‘곽준빈계획’에 따라 손칼국수 맛집을 찾아간 가운데, 면을 안 좋아한다고 고백한 정지선 셰프의 리얼하고 살벌한 맛 평가에 시선이 쏠린다. 

 

▲곽튜브의 추억이 깃든 맛집에 전현무와 정지선 셰프가 초대돼 새로운 맛의 향연을 느낀다. [사진='전현무계획2' 방송 갈무리]

 

13일(금) 밤 9시 10분 방송하는 본격 리얼 길바닥 먹큐멘터리 ‘전현무계획2’(MBN·채널S 공동 제작) 9회에서는 ‘부산 사람’ 곽튜브(곽준빈)의 ‘곽준빈계획’이 펼쳐지는 가운데, 곽튜브의 추억이 깃든 ‘단돈 5천원’ 50년 전통의 칼국수 맛집이 공개돼 동행한 전현무와 ‘중식의 여왕’ 정지선 셰프의 리얼 맛 평가를 기대케 한다. 

 

이날 곽튜브는 전현무, 정지선 셰프를 리드해 자신의 스무 살 시절의 추억이 담긴 한 손칼국수 식당으로 향한다. 잠시 후, 세 사람은 옛 감성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노포 식당의 천막 자리에 앉고, 메뉴판을 본 곽튜브는 “손칼국수가 5천원? 13년 전에 3천원이었는데 가격이 많이 안 올랐다”며 깜짝 놀란다. 주문을 마친 곽튜브는 “여긴 진짜 옛날 그 맛이다. 서울에서는 이 맛이 안 난다. 시장 칼국수의 끝”이라며 적극 홍보에 나선다. 

 

추억을 찾아온 곽튜브가 부쩍 들뜬 반면, 정지선 셰프는 “사실 면을 안 좋아한다”고 ‘반전 고백한다. 이에 곽튜브는 “다음 코스도 추억의 자장면 집으로 가려고 했는데~”라며 너스레를 떨고, 정지선 셰프는 “자장면? 초면인데 안 맞네~”라고 받아쳐 웃음을 안긴다. 전현무는 “근데 실제로 (정)지선이 식당에서는 자장면을 안 판다. 정통 중식요리만 만든다”라고 정지선표 고집과 소신을 언급하고, 정지선 셰프 역시 “자장면, 짬뽕 안 판다. 중국 현지에서 배워온 대로 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러자 전현무는 “(지선이가) 융통성이 1도 없다”고 콕 집는데, 갑자기 곽튜브는 “멋있다”라고 하더니 “뭔가 빠니 형 같다”며 절친인 빠니보틀을 소환한다. 정지선과 빠니보틀의 연결고리가 무엇인지 그 이유에 궁금증이 쏠린다. 

 

유쾌한 분위기 속, 드디어 직접 반죽해 썰어 만든 리얼 ‘손칼국수’를 영접한 정지선 셰프는 “어? 생각지도 못한 비주얼이다”라며 사진 촬영까지 나선다. 전현무는 “지선이가 중식 요리사지만 한식, 양식 자격증도 있다”며 냉정한 맛 평가를 예고하고, 곽튜브는 “두 분과 먹으니까 무섭다”라고 긴장감을 드러낸다. 이에 전현무는 “지금은 우리가 백종원, 안성재라고 보면 돼~”라며 한 입 크게 맛을 보는데, 과연 전현무와 정지선 셰프가 어떤 살벌한 맛 평가를 내놓을지에 폭풍 관심이 쏠린다. 

 

곽튜브 ‘픽’ 추억의 칼국수 먹트립 현장은 물론, 전현무에게 진짜 서운했던 일화와 여경래 셰프와의 감동 사연까지 모두 털어놓은 정지선 셰프와의 먹방 토크까지 펼쳐지는 MBN·채널S ‘전현무계획’ 9회는 13일(금) 밤 9시 10분 방송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