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온스타일, 주방용품 매출 97% 상승...바오먼트X글로벌나이프 칼도마세트 론칭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30 08:58:11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CJ온스타일이 전국적 요리 열풍으로 주방가전·주방용품 매출이 97% 신장했다고 30일 밝혔다.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에서 공개된 요리 경연 예능의 기록적 흥행이 관련 소비로 자연스럽게 이어진 것이다. 해당 예능이 첫 공개된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16일까지 한 달간 후라이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0%, 스탠·법랑·뚝배기 등 냄비류는 110%, 도마 매출도 29% 늘었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해 CJ온스타일을 운영하는 CJ ENM 커머스부문은 키친웨어 브랜드 ‘바오먼트’와 40년 역사를 가진 명품 나이프 브랜드 ‘글로벌 나이프’의 한정판 칼도마세트를 론칭하며 관련 수요 잡기에 나선다.

 

▲ <사진=CJ EMN>

 

협업 상품은 ‘유틸리티 칼도마세트’다. 바오먼트의 ‘엔드그레인 테이블 도마’와 글로벌 나이프의 ‘11cm 유틸리티 나이프 GSF-22’, 휴대용 나이프 가드로 구성됐다. 공간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도록 컴팩트한 크기와 무게로 패키지를 꾸렸다.

 

도마는 물에 강한 특성을 지닌 하드우드 월넛 나무의 나이테를 조각해 만들어졌다. 칼집 복원력이 뛰어나 우수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견고하고 아름다운 색을 자랑해 도마 자체를 플레이팅 접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글로벌 나이프 GSF-22는 일체형 통 스테인레스 소재다. 과일을 깎거나 채소를 손질하는 등 다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비교적 짧은 칼날을 자랑해 휴대성도 용이하다. 캠핑 등 야외 활동에서 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휴대용 나이프가드’도 동봉된다.

 

이 상품은 CJ온스타일 모바일 앱과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Kurly)에서 만나볼 수 있다. 마켓컬리에서는 30일 오전 11시부터 45% 할인된 특가에 구매 가능하다.

 

한편 바오먼트는 CJ ENM이 전개하는 키친웨어 브랜드로 요리를 즐기고 주방 도구에 관심이 많은 여성 고객을 타깃으로 실용성과 품질력을 갖춘 리빙 상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이고 있다. 2021년 8월 론칭 이래 브랜드 누적 주문액은 200억을 육박한다. 올해 9월 이미 지난해 연간 매출을 추월했을 만큼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CJ ENM 관계자는 “요리 경연 콘텐츠의 선풍적 인기와 고물가가 맞물리며 직접 요리를 해 먹는 트렌드는 계속될 것”이라며 “제품력을 기반으로 실용적 키친웨어를 지향하는 ‘바오먼트’와 ‘글로벌 나이프’의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통해 요리의 즐거움을 만끽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