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법인 5년새 2배 증가

임준혁 / 기사승인 : 2020-10-08 10:05:19
  • -
  • +
  • 인쇄
부동산법인 1곳당 10억5천만원 벌어
주택분 종부세 대상 법인 1만5천곳이 23만채 보유

[메가경제= 임준혁 기자] 부동산 매매를 주 업종으로 하는 법인이 최근 5년간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이 8일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영업 중인 부동산매매업 법인은 3만2869개로 2014년 말 1만3904개보다 136%(1만8965개) 늘었다.

같은 기간 부동산매매업을 하는 개인사업자도 1만1422개에서 1만9719개로 72%(8297개) 증가했다.

 

▲ [일러스트= 연합뉴스]

법인과 개인을 합하면 부동산매매업은 2014년 2만5326개에서 지난해 5만2588개로 108%(2만7262개) 늘었다.

부동산 법인은 다주택자 규제를 피하기 위해 2018년부터 설립이 급증했다.

부동산값이 뛰면서 이들 법인이 벌어들인 소득(영업이익)도 증가했다.

지난해 법인세를 신고한 부동산 법인은 2만1305개로, 비용을 제외한 소득은 12조6003억원에 달했다. 1곳당 10억4698억원의 소득을 올린 셈이다.

이는 2015년에 1만612개 법인이 3조4198억원(1곳당 3억3652억원)의 소득을 신고한 것과 비교하면 법인 수와 1곳당 소득액 모두 대폭 늘어났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내는 법인도 늘었다.

지난해 주택분 종부세 부과 대상 부동산 법인은 1만5853개, 이들 법인이 보유한 주택은 23만3천채였다.

2017년 법인 5449개, 주택 9만3030채, 2018년 법인 1만128개, 주택 11만1722채보다 많이 늘어난 것이다.

법인이 납부한 주택분 종부세는 지난해 4653억원으로 2018년 888억원보다 늘었다. 지난해 법인 1곳당 종부세는 2935만원이었다.

고 의원은 "2018년부터 부동산 법인 설립이 급증하고 법인 매수 비중도 많이 늘어나고 있었는데 정부의 법인 규제가 조금 늦은 측면이 있다"며 "부동산 법인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고 종부세법 등 부동산 3법이 통과돼 법인을 통한 부동산 투기 수요는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준혁
임준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2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3

더위크앤 리조트, ‘케이팝 스타 패키지’ 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더위크앤 리조트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K-POP 체험 프로그램을 결합한 ‘케이팝 스타 패키지(K-POP Star PKG)’를 선보였다. 이번 상품은 최근 중국 M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OST와 K-POP 노래·안무를 직접 배우고, K-뷰티 체험까지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됐다.패키지는 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