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은 지난 28일 호주 퍼스시에서 '글로벌 리튬(Global Lithium Resources)'과 리튬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SK온은 향후 글로벌 리튬이 소유·개발 중인 광산에서 생산되는 리튬 정광(스포듀민·Spodumene)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다.
![]() |
▲ 류진숙 SK온 전략담당(오른쪽 세 번째)과 론 미첼 글로벌 리튬 매니징 디렉터(왼쪽 세 번째) [사진=SK온 제공] |
또 글로벌 리튬이 추진 중인 생산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양사는 광물 채굴과 리튬 중간재 생산 등 배터리 가치 사슬 내에서 추가적인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로 했다.
글로벌 리튬은 지난 2018년 설립 후 현재 호주 내 2개 광산에서 총 매장량이 50만 톤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리튬 정광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하얀 석유'로도 불리는 리튬은 배터리 양극재의 필수 원재료로, 채굴·정제가 쉽지 않아 수급이 불안정해 최근 가격이 치솟고 있다.
SK온에 따르면, 리튬 가격은 지난해 9월 1톤당 2만 달러 수준에서 1년 만인 올해 9월 6만 7000달러를 돌파했다.
호주는 세계 최대 리튬 생산국이자 니켈·코발트 등 다른 배터리 핵심 광물에서도 주요 생산국으로, 최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발효한 미국과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류진숙 SK온 전략담당은 "이번 협약은 SK온의 글로벌 생산력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사는 공급망 확대를 가속화하는 추가 사업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