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최대 10회 암진단비 지급하는 'The 시그니처 암보험' 출시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11-04 13:40:24
  • -
  • +
  • 인쇄
고액치료 보장 상품 최대 지급기간 확대
전이암까지 진단자금 보장 특약 개발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한화생명은 암 치료기술 발전과 최신 보험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치료 보장금액을 대폭 확대한 한화생명 The 시그니처 암보험을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한화생명은 암 치료기술의 발전과 최신 보험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치료 보장금액을 대폭 확대한 ‘한화생명 The 시그니처 암보험’을 출시했다. [사진=한화생명 제공]

 

기존 암 주요치료비 상품 최대 지급금액을 확대하고 표적항암약물치료 및 특정면역항암약물치료 등 고액치료 보장 상품의 최대 지급기간을 넓혔다. 또 전이암까지 진단자금을 보장하는 '통합암특약'을 개발했다.

 

우선 '암주요치료비' 최대 보장금액이 기존 1억원에서 1억5000만원으로 상향됐다. 최소 보장기준 500만원은 동일하게 유지했다. 암주요치료는 고객이 암 진단 후 암 수술, 항암약물치료, 항암방사선치료를 받는 경우를 말한다.

 

'통합암특약'을 통해 원발암과 전이암 구분 없이 암을 10그룹으로 나눠 그룹별 1회, 최대 10회까지 암 진단자금을 지급한다. 고객은 하나의 상품으로 암 진단 자금을 여러번 받을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액치료 급부도 강화했다. 기존 5년간 보장했던 표적항암약물, 비급여 표적항암약물 특약 보장기간을 10년으로 확대했다. 암 주요치료 중 고액 비용이 드는 표적항암약물치료, 비급여 표적항암약물치료, 특정면역항암약물치료 치료비를 10년간 매년 정액으로 제공한다. 암로봇수술은 만기까지 수술 횟수만큼 보험금을 지급한다.

 

납입면제 범위도 확대됐다. 암 납입면제 대상에 대장점막내암, 초기유방암을 추가했다. 또 암 수술, 암 입·통원, 질병후유장해 등 주요 급부도 탑재됐다.

 

구창희 한화생명 상품개발팀장은 "한화생명 The 시그니처 암보험은 암 주요치료비뿐만 아니라 전이암 진단까지 보장하는 통합암보장, 암입원 및 통원 특약 등을 탑재해 고객이 암에 대한 토탈 보장을 준비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며 "암 치료기술 발전에 맞춰 계속해서 새로운 보장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가입자에게는 암 진단 전·후 전반을 관리해주는 '암보호시스템'을 부가서비스가 제공된다. 암보호시스템은 한화생명과 제휴를 맺고 있는 글로벌 기업 'Need(니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다. 고객에게 암 조기발견, 재발·전이 확인 등을 유도하고, 담당 의사에게 AI 정보 플랫폼을 통한 치료 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비트코퍼레이션, 日 진출…AI로봇커피 1호 매장 설립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다날의 푸드테크 기업 비트코퍼레이션과 다날 재팬은 일본의 스마트 서비스 운영 기업 힐스톤 재팬과 파트너십을 맺고, AI로봇커피 비트(b;eat) 일본 진출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일본은 자동판매기 등 무인서비스가 가장 활성화된 국가로 연간 관련 매출액이 약 5조엔(약 47조원)에 이르고 있다. 비트코퍼레이션은 높은 기술력과 전

2

넥써쓰, 비트코인 트레저리 전략 확대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넥써쓰는 10일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신규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자금 조달 규모는 총 100억원이며, 운영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넥써쓰는 이번 조달과 별개로 기존 보유 자금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순차적으로 매입할 계획이다.이는 장현국 넥써쓰 대표가 강조해온 ‘비트코인 트레저리 전략(Treasury St

3

대한제분 곰표 '레트로 열풍' 뒷면, 중소기업 '상표 찬탈' 의혹
[메가경제=정호 기자] 대한제분이 중소기업 영동식품과 곰표 상표를 두고 '권리 침해' 공방을 벌이고 있다. 밀가루 가공업체로 알려진 대한제분은 '뉴트로 열풍'에 힘입어 곰표 상표를 앞세워 의류, 식품, 생활용품 등을 계속해서 내놓고 있다. 소비자 인식을 높이며 '제2 부흥기'를 맞았지만, 단독 소유물이 아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