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속 가격 '역주행' 대형마트·e커머스 '꽃게 전쟁' 과열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8-30 17:01:19
  • -
  • +
  • 인쇄
'롯데마트' 업계 최저가로 '승부수'....오픈런 대란
990원→880원→850원, 쿠팡 참전으로 내리기 바빠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마트 3사의 격전지였던 '가을 꽃게 10원 전쟁'이 올해는 쿠팡까지 참전하며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꽃게 가격은 5년만에 최저가인 100g 당 800원 수준으로 낮아졌다. 

 

대형마트들은 이례적으로 추가 할인에 나서며 업계 최저가로 내리기 바쁜 모습이다. 고객들은 꽃게를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 마트에서 길게 줄을 서는 등 오픈런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 꽃게 가격이 5년만에 최저가인 100g 당 800원 수준으로 낮아졌다.[사진=롯데마트]

 

꽃게는 어종 보호를 위해 6월부터 금어기에 돌입했지만 지난 21일부터 해제됐다. 서해5도 일부 해역에서는 31일까지 금어기이기에 어장이 더욱 넓어져 '꽃게 대전'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대형마트는 금어기 해제 시즌에 맞춰 조금 더 꽃게를 할인하는 '10원 전쟁'을 벌여왔다. 어장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물량을 사전에 확보하고 신선도를 지키기 위해 냉장 배송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환경상 꽃게 대전은 대형마트의 독무대로 알려졌다. 

 

올해는 이례적으로 쿠팡이 지난 25일 890원의 업계 최저가를 제시하며 참전 소식을 알렸다. 롯데마트와 이마트는 전날 앞다퉈 가격 인하를 단행하며 '1원대'까지도 가격을 조정하며 경쟁력 확보에 나선 모습이다.  

 

마진을 남겨야하는 구조상 불거진 문제로 업계 일각에서는 경쟁이 심화될 시 되려 팔수록 손해가 누적되는 '출혈 경쟁' 가능성 또한 언급됐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어차피 고객들은 마트에 와서 꽃게만 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님의 발길을 모으는 '미끼 상품'으로 가을 꽃게를 제시할 가능성을 언급한 셈이다.

 

실제로 롯데마트는 따르면 5년간 가장 낮은 가격인 100그램당 893원으로 가격을 인하를 단행했고, 오픈런까지 발생했다고 말했다. 

 

올해 가을 꽃게 '10원 전쟁'은 금어기가 해제된 직후인 21일부터 시작됐다. 롯데마트는 893원, 이마트 950원, 홈플러스 990원에 판매를 시작했다. 꽃게 최저가 전쟁은 일주일새 이마트 880원으로 내리며 심화되기 시작했다. 롯데마트는 871원으로 가격을 내리며 따라붙었다. 이마트는 다시 864원으로 가격을 내리자 롯데마트는 850원까지 제시한 상황이다.

 

치열해지는 마트사의 할인 경쟁은 어장이 추가로 풀리는 31일날 기점으로 더 첨예해질 가능성이 크다. 업계 일각에서는 올해 꽃게 가격이 700원 수준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하루 자고 일어날 때마다 꽃게 가격이 내려가는 현 상황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미 꽃게가 미끼 상품으로 고객 발길을 끄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만큼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마트를 찾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