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신승민 기자]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아시아 지역 내 공공 및 민간 부문 전문가들을 초빙해 아시아 모빌리티 포럼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 |
▲ 강남훈 KAMA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번 포럼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대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아시아 지역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 모빌리티 전환을 가속화 하고자 서울모빌리티쇼와 연계하여 개최하게 됐다.
강남훈 KAMA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아시아 주요국들은 전동화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있고, 특히, 한국·중국·일본뿐만 아니라 인니·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정부는 미래차 산업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어, 아시아 지역 내 적극적인 파트너쉽이 그 어느때 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포럼을 계기로 아시아 역내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하여 자동차산업의 비전과 과제를 돌아보고, 미래를 함께 그려가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김종철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국장은 축사를 통해 “최근 모빌리티 산업은 전기차, 자율주행 등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아시아는 이러한 변화를 선도하는 핵심 지역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47억 명 이상의 인구와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과 아시아 간 협력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으며, 한국은 아시아의 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해 다각적인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한국 정부는 인도네시아에서 시작된 전기차 분야 ODA 협력을 타 아시아 국가들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한국의 자동차 생산 경험과 기술력, 아시아의 높은 성장 잠재력과 혁신성이 만나 새로운 산업 협력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EV·배터리 등의 전동화 전환'을 주제로 태국, 베트남 전문가와 산업연구원에서 주제발표를 하였으며, 이후 김민수 서울대 교수는 발제자들과 패널토론을 이어갔다.
태국 EVAT 유테인 수파띠 부회장은 “태국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생산 차량의 30%를 전기차로 전환 목표로 수입 관세 감면, 소비세 감면, 구매보조금 지급 중”이라고 강조했다.
베트남 VIOIT 당 호앙 마이 연구원은 “베트남 정부는 2025년 말까지 전국에 2만개가 넘는 충전소를 건설하여 소비자가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