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구속] 외신들 "불확실성 심화되는 상황서 최고결정권자 공백"

최낙형 / 기사승인 : 2021-01-18 17:48:25
  • -
  • +
  • 인쇄
블룸버그 "극적인 결론…장기전략·대규모투자에 차질 예상"
로이터 "거대기업 바라보는 한국인의 시각에도 영향"
일본 언론 "삼성전자·한국 경제 불안 요인 될 가능성"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18일 2년6개월 실형을 선고 받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법정구속 소식에 대해 외신들은 이 부회장 구속이 삼성전자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며 일제히 신속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수년간 이어지며 정경유착에 대한 격한 분노를 불러온 뇌물재판에서 극적인 결론이 나왔다"라면서 "세계 최대 전자기업 최고결정권자가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심화하고 경쟁자가 부상하는 상황에서 수감됐다"라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미중관계와 경쟁심화로 나타난 불확실성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심화하는 상황에서 최대 메모리칩, 스마트폰, 소비자가전 기업의 수장 자리가 공백이 됐다"라면서 "이 부회장의 부재는 삼성전자의 장기적인 전략행보와 대규모 투자를 멈춰세우거나 어렵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며 법정으로 향하던 중 고개를 숙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BBC방송은 이번 판결이 삼성전자 내 이 부회장의 역할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은 이 부회장의 리더십과 함께 거대기업을 바라보는 한국인의 시각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로이터는 "삼성전자가 경쟁자들을 추월하려고 분투하는 상황에서 이 부회장이 주요의사결정에서 물러나있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DW)는 작년 10월 이건희 회장의 별세 이후 진행되온 승계작업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AP통신은 "상당히 관심을 끈 재판이었다"라고 전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 부회장의 법정 구속이 삼성전자와 한국 경제에 모두 영향을 주는 사건이라고 반응했다.

교도통신은 이 부회장이 법정 구속된 사실을 속보로 전하면서 "삼성은 한국 최대 기업 집단"이라며 “이 부회장이 구속됨에 따라 그룹의 경영이나 한국 경제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올 것 같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삼성이 다시 수뇌 부재라는 이상 사태를 맞게 됐다"며 집행 유예를 예상하던 시장이 동요하면서 삼성전자 주식이 이날 장중 한때 4% 넘게 하락했다고 전했다.

지지통신은 "코로나19가 수습되지 않아 경제의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할 거대 기업의 사령탑 부재는 한국 경제의 불안 요인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낙형
최낙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