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국산 유전자 재조합 혈우병 치료제 중국서 첫 허가 획득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8-12 17:55:08
  • -
  • +
  • 인쇄

국산 혈우병 치료제가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혈우병 치료제 ‘그린진에프(베록토코그알파)’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발된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혈우병 치료제가 중국 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국산 유전자 재조합 혈우병 치료제 중국서 첫 허가 획득 [GC녹십자 제공]


‘그린진에프’는 3세대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A형 혈우병 치료제다. GC녹십자는 세계에서 세 번째,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해 지난 2010년 출시했다.

지난해 헌터증후군치료제 ‘헌터라제’에 이어 이번 허가까지 획득하며 중국 내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회사 측은 내다봤다.

중국의 A형 혈우병 전체 환자 중 치료를 받는 환자는 약 40%로 알려져 있다. 중국 혈우병 치료제 시장은 오는 2028년 4000억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집계된 시장 규모보다 2배가 넘는 수치다.

이 제품의 현지 마케팅 및 판매는 중국 내 혈장 유래 혈우병 치료제 점유율 1위로 영업·유통망이 탄탄한 GC차이나(GC China)가 맡는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이번 승인으로 중국 내 혈우병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이어온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됐다”며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확대를 위한 조속한 상용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메리츠화재와 'AI 기반 미래 금융 혁신' 위한 공동 연구 추진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메리츠화재와 함께 KT 광화문 빌딩에서 간담회를 열고 ‘AI 기반 미래 금융 혁신’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KT의 AI 기술과 메리츠화재의 금융·보험 사업 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AI를 통한 금융 서비스 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산업 간 협력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

2

삼양그룹,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삼양그룹은 지난 5일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삼양디스커버리센터에서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이하 SIRF) 2025’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SIRF는 한 해 동안 삼양그룹 연구원들이 거둔 R&D 성과를 전시하고 발표하는 행사로, 2012년 처음 시작해 올해로 14회째 이어오고 있다. 우수한 성과를 낸 과제를 선

3

이랜드파크 켄싱턴호텔 여의도, ‘2025 켄싱턴 런앤펀’ 이벤트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켄싱턴호텔 여의도는 지난 5일 ‘런 투게더(Run Together)’ 패키지 출시를 기념한 사전 이벤트 ‘2025 켄싱턴 런앤펀(Run&Fun)’을 성료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런 투게더 패키지 출시에 앞서 호텔 인근 여의도 한강공원 8km 구간인 ‘고구마 런’ 코스를 함께 달리며 도심 속 러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