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민, 신혼여행의 추억 어린 세부 바닷가서 '눈가 촉촉' 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5 09:05:14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독박즈’가 필리핀 세부의 로컬 비치부터 럭셔리 비치까지 ‘극과 극’ 체험에 나선다.

 

▲ 25일 방송하는 '독박투어2'에서 필리핀 세부 여행기가 펼쳐진다. [사진=채널S, SK브로드밴드]

 

25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2’(채널S·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 20회에서는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필리핀 세부의 에메랄드빛 바다를 즐기는 여행 첫날 모습이 펼쳐진다.

 

앞서 홍인규가 사정상 반나절 늦게 합류하기로 한 가운데, 이날 4인방은 유세윤이 강력 추천한 ‘찐’ 로컬 비치로 향한다. 그런데 김준호는 모래사장이 아닌 시멘트 바닥인 해변 풍경에 “여긴 비치가 아니라 계곡 같은데?”라며 당황스러워 한다. 유세윤은 “원래 이곳이 관광객이 하나도 없고 로컬 분들만 오는 찐 로컬 비치야”라고 강조한 뒤 “해변 캠핑장 같고 좋지 않냐?”라고 분위기를 띄운다. 그러나 이미 좌석이 만석이어서, ‘독박즈’는 장소를 이동하기로 긴급 결정한다. 이에 장동민은 “나 신혼여행 때 갔던 비치로 가자, 추억에 잠기고 싶다”라며 앞장선다. 직후, ‘독박즈’는 교통수단을 알아보는데, 유세윤은 “가까우면 저거 타고 가자”라며 트라이시클(오토바이를 개조한 현지 교통수단)을 가리킨다. 김준호와 장동민은 “더워서 안돼”라더니 ‘그랩’(택시)을 타고 가자며 팽팽히 맞선다.

 

우여곡절 끝, ‘독박즈’는 장동민이 추천한 비치에 도착한다. 이곳은 ‘막탄 뉴타운 비치’로 에메랄드빛 해변을 자랑하는데, ‘독박즈’는 여유롭고 럭셔리한 분위기에 “바로 이거지!”라며 대환호한다. 하지만 유세윤은 휴대폰을 보느라 잠시 한눈을 팔고, 이를 포착한 장동민은 “우리 지금부터 휴대폰 그만보자. 이렇게 좋은 데 와서 경치는 안 보고…”라고 ‘엄근진’ 경고한다. 이어 “우리 ‘독박투어’를 보고 시청자 분들이 많은 정보를 얻어가신다. 먼저 다른 일 때문에 베트남을 갔더니, 우리가 갔던 식당에서 ‘독박 메뉴’를 팔고 있더라”며 ‘독박투어’ 자부심이 어린 일장 연설을 퍼붓는다. 장동민의 설득력 넘치는 말에 모두가 수긍하고, “그럼 지금부터 휴대폰 보면 1독!”이라고 약속을 한다. 그런데 김대희는 “이걸 홍인규한테 얘기해줘야 하나?”라며 의미심장하게 웃어, “와! 사탄을 보았다”라는 장동민의 찐 리액션을 유발한다.

 

필리핀 세부에서 ‘찐친 케미’를 터뜨리는 ‘독박즈’의 여행기는 25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2’ 20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채널S는 SK브로드밴드 Btv에서는 1번, KT 지니TV에서는 44번, LG U+TV에서는 61번에서 시청 가능하다. 아울러 OTT 플랫폼 넷플릭스에서도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찰, 국정자원 화재 전담팀 가동...원인 수사 본격화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며 본격 수사에 나섰다. 28일 대전경찰청에 따름녀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구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전담 수사팀은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20명 규모로 알려졌다. 해당 팀은 화재가 발생한 '무정전·전원

2

100만 인파 몰린 불꽃축제 '성료'…'대박' 터진 편의점·호텔
[메가경제=정호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편의점과 호텔이 높은 매출을 거뒀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불꽃축제에는 한강공원이 인접한 여의나루역을 무정차 통과할 정도로 인파가 몰렸다. GS25 편의점 10개 매장은 지난 20일 토요일 대비 하루 매출이 850% 급증했다. 특히 오후

3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