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리 "48세에 가슴수술한 뒤, 50대에 연애할 것" 화끈한 인생 플랜 공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6 09:05:54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사유리가 “‘맑눈광’이란 이런 것이다”를 온몸으로 보여주는 4차원 매력으로 ‘하입보이스카웃’ 오디션 현장을 뒤집어 놓는다.

 

▲ 27일 방송하는 '하입보이스카웃'에 방송인 사유리가 출연해 연애에 대한 로망을 밝힌다. [사진=ENA]

 

27일(월) 저녁 8시 30분 방송하는 ENA 오리지널 예능 ‘하입보이스카웃’(연출 정은하) 7회에서는 유니콘 엔터테인먼트를 찾아온 ‘원조 맑눈광(맑은 눈의 광인)’ 사유리가 ‘하입걸’ 오디션에 도전하는 모습이 공개된다.

 

이날 선우 사원은 본격적인 오디션 시작과 함께, “탁재훈 대표님은 물론, 결혼 전 장동민 이사님과 스캔들이 났던 분”이라고 운을 띄운 뒤, ‘삼각 스캔들’(?)의 주인공인 사유리를 입장시킨다. 해맑은 표정으로 등장한 사유리는 “아이가 있는데 고정 프로그램이 없다. 급하고 배고파서 왔다”고 말한다. 이에 선우는 “유니콘 엔터에 괜찮은 남자가 있으면 아들 젠의 아빠로 삼는다고 하시던데?”라고 돌직구를 던지고, 탁재훈은 “본인이 외로워서 그러냐?”라고 예리한 질문을 추가 투척한다. 사유리는 “전 하나도 안 외롭다”라고 즉각 받아친 뒤, “오빠는 외로워요?”라고 탁재훈에게 공을 넘긴다. 결국 탁재훈은 본인의 ‘제주살이’까지 언급하며 쩔쩔 맨다고 해, 과연 무슨 이야기가 오간 것인지에 궁금증이 치솟는다.

 

대환장 인사 후, 사유리는 “외로움은 사치다. 진짜 배고프면 돈부터 생각하게 된다”며 자신의 ‘NEW 인생 철학’을 강조한다. 그러더니, “48세 때 가슴 수술을 하고 50대 때에는 연애를 할 것”이라고 화끈한 인생 2막 계획을 밝힌다. 이에 탁재훈은 사유리의 이상형을 묻고, 사유리는 “짧은 머리에 몸 좋은 남자”라며 ‘빨간맛 입담’을 폭발시킨다. 탁재훈은 “아주 욕정으로 꽉 찼네!”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현장이 후끈 달아오른 가운데, 유니콘 엔터 4인방은 ‘젠(사유리 아들)의 새아빠 찾기 프로젝트’를 주제로, 사유리의 ‘이상형 월드컵’을 연다. “오예!”라고 외친 사유리는 “혼인신고 해야지~”라며 김칫국을 들이마시고, 잠시 후 과거 스캔들이 났었던 ‘탁재훈 VS 장동민’이라는 난제에 부딪히자 신중하게 한 남자를 택한다. 나아가 사유리는 그 남자에게 “젠 아빠 할래요?”라며 깜짝 프로포즈까지 한다.

 

사유리의 선택을 받은 남자가 누구인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관상, 트월킹, 늑대인간 놀이, 미각 속이기 등 어디서도 본 적 없는 ‘100가지 개인기’를 방출하는 ‘원조 맑눈광’ 사유리의 하입걸 도전기는 27일(월) 저녁 8시 30분 방송하는 ENA ‘하입보이스카웃’ 7회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찰, 국정자원 화재 전담팀 가동...원인 수사 본격화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며 본격 수사에 나섰다. 28일 대전경찰청에 따름녀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구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전담 수사팀은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20명 규모로 알려졌다. 해당 팀은 화재가 발생한 '무정전·전원

2

100만 인파 몰린 불꽃축제 '성료'…'대박' 터진 편의점·호텔
[메가경제=정호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편의점과 호텔이 높은 매출을 거뒀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불꽃축제에는 한강공원이 인접한 여의나루역을 무정차 통과할 정도로 인파가 몰렸다. GS25 편의점 10개 매장은 지난 20일 토요일 대비 하루 매출이 850% 급증했다. 특히 오후

3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