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장 GLPro, 혈당관리 캠페인...건강한 생활 문화 확산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08:44:34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정관장의 혈당케어 전문 브랜드 ‘GLPro’가 ‘채단탄 캠페인(채소-단백질-탄수화물 순서의 식사 방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알린다.

 

24일 KGC인삼공사에 따르면 정관장은 ‘채단탄’ 캠페인과 함께 식단 기반의 실천형 건강 습관을 제안하기 위해 과일·채소용기 유명 브랜드 ’룬드런던’의 후르츠팟을 함께 구성한 ‘GLPro혈당 루틴 에디션’ 한정판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제품은 혈당 관리를 돕는 ‘GLPro 코어, ‘GLPro더블컷’ 제품으로 구성되며, 두 제품 모두 600ml ‘후르츠팟’ 전용 용기가 함께 제공된다.   

 

▲ <사진=KGC인삼공사>

 

‘GLPro’는 국내 최초로 ‘정관장 홍삼의 5대 기능(면역력 증진·피로 개선·혈행 개선·항산화·기억력 개선)’에 더해, 혈당 조절 기능성을 인정받은 홍삼을 기반으로 탄생한 브랜드로 출시 7개월 만에 누적 매출 100억원을 돌파한 바 있다.

 

‘룬드런던’의 후르츠팟은 용기 안에 쏙 들어가는 포크가 포함돼 있으며, 방울토마토 약 15개가 들어가는 넉넉한 용량이다. 물기를 빼주는 콜랜더(내부 바스켓)가 함께 들어 있어 과일과 채소를 시들지 않고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정관장은 한정판 제품을 활용한 ‘하루 혈당 헬시 루틴’도 소개한다. 아침 출근길에는 에스컬레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고, 점심 식사 전에는 ‘GLPro’를 섭취한 뒤 채소–단백질–탄수화물 순으로 식사하는 방식이다. 점심 식사 후에는 약 30분간 가벼운 산책을, 오후 3시에는 책상과 소파에서 잠시 일어나 스트레칭을, 오후 4시에는 과자 대신 견과류 한 줌으로 간식을 대체한다. 저녁 6시에는 후르츠팟에 미리 준비해 온 간편식을 활용해 가볍게 저녁 식사를 하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식사 때마다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는 만큼, 자주 먹는 것보다 식사 간격을 최소 3~4시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지방 대사도 보다 활발해질 수 있다.

 

정관장 관계자는 “일상 생활에서의 작은 습관 변화에 GLPro 를 더하면 늘어났던 뱃살과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GLPro혈당 루틴 에디션’ 뿐만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와의 컬레버레이션을 확대해 혈당·체지방 관리는 물론, 소비자들의 일상 전반에 걸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구글플레이 코드퀘스트 프로모션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넷마블은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에서 구글플레이 코드퀘스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11월 26일까지 세븐나이츠 리버스 인게임 상품 구매 시 8% 특별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이용자들은 구매 전 구글플레이 포인트 적립 탭에서 ‘부스트’를 시작해야하며, 7일간 결제 내역의 포인트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

풀무원, ‘스테이풀무원’으로 한국PR대상 이미지 PR 부문 최우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풀무원은 제33회 한국PR대상에서 ‘스테이풀무원’이 이미지 PR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한국PR협회가 주관하는 한국PR대상은 한 해 동안의 PR 활동과 우수 실무자를 발굴 및 시상하는 자리로, 올해 33회를 맞아 지난 21일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개최됐다. 이번 한국PR대상에서 이미지 PR 최우수 수상작으로

3

코스콤, AX Tech Summit 2025 성공적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코스콤이 전사 AI 전환(AX)을 본격화하며 내부 기술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코스콤은 AX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임직원 간 기술·지식 교류를 강화하기 위한 사내 행사인 ‘AX Tech Summit 2025’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AX·R&D본부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AI 내재화 전략, 내년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