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자산운용,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 인증 갱신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9 12:39:52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이지스자산운용이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을 갱신했다고 29일 밝혔다.

 

ISO 14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환경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으로, 기업의 친환경 경영 전략과 조직 체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한다. 3년마다 모든 프로세스의 적합성을 재인증하는 갱신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지스자산운용은 2022년 10월 첫 인증 획득 이후 매년 사후관리 심사를 통해 환경경영 체계의 적합성을 검증받았으며, 이번에 3년 만에 재인증했다.

 

▲[사진=이지스자산운용]

 

이지스자산운용은 ‘Building a Sustainable Future’라는 미션 아래 탄소발자국 저감을 위한 환경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실측 에너지 데이터 취합률을 지난해 기준으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상승한 80%까지 끌어올렸으며, 국내 펀드 실물자산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밀 산정해 글로벌 검증심사 기관인 로이드인증원의 제3자 검증을 받았다.

 

또한 임직원에게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본사 건물에 친환경 요소를 적극 반영했다. 친환경 자재 사용, 에너지 효율 개선, 실내 공기질 향상 등의 노력 결과로 여의도 세우빌딩 2층 업무공간과 13층 라운지는 미국 그린빌딩위원회(USGBC)의 글로벌 친환경 건축물 인증 LEED ID+C(인테리어 디자인 및 건설)에서 골드 등급을 획득했다.

 

본사뿐 아니라 운용자산의 환경경영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펀드에 편입된 국내 실물자산의 약 43%가 LEED, G-SEED, 에너지효율등급 등 친환경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총 185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보해 2024년 태양광 15만 6000MWh, 수소연료전지 5만 MWh의 전력을 생산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최근 발표된 2025 GRESB(글로벌 부동산 지속가능성 벤치마크) 평가에서도 오토웨이타워, 트윈트리타워, 시그니쳐타워, 센터필드를 운용하는 4개 펀드 모두 최고 등급인 5스타를 획득했다. 특히 오토웨이타워 펀드는 8년 연속 5스타를 유지하고 있다.

 

이지스자산운용 관계자는 “이번 ISO 14001 인증 갱신을 계기로 환경경영 시스템을 글로벌 기준에 따라 한층 더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며 “운용자산 전반에 걸친 환경 관리 체계 강화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엑스, 식품 박람회 ‘2025 푸드위크 코리아’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엑스가 오는 11월 1일까지 하반기 최대 식품 종합 전시회인 ‘푸드위크 코리아(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Food Week Korea 2025)’를 삼성동 코엑스 A, B, C홀과 더플라츠(THE PLATZ)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20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42개국, 950개 사의 1,532부스가 참가하며 ‘FOOD RE:

2

전문경영인 체제 힘 받는 한미사이언스…3분기 영업이익 75%↑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대표이사 김재교)가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이후 3분기까지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가며 1조원대 매출을 달성했다.한미사이언스는 29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3425억원, 영업이익 393억원, 순이익 3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2%, 75.2%, 8

3

희망브리지, 17억원 상당 산불지연제 270톤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가 산림청 산림항공본부에 산불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17억 8천만 원 상당의 친환경 산불지연제 270톤을 전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봄·가을철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대형산불 위험이 높아지는 가운데 산림항공본부의 산불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불지연제는 산불이 잦은 강원 영동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