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계란값 폭등에 '가격 인상' 방어 '진땀'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2 12:41:01
  • -
  • +
  • 인쇄
2021년 AI 사태 이후로, 도매가 7000원 넘어
"여름철 계란 소비 둔화 등으로 안정화 될 것"

[메가경제=정호 기자] 계란값 폭등에 대형마트들이 가격 방어에 급급한 모습이다. 계란 공급 부족 사태로 인해 납품가가 인상됐지만 대형마트들이 이윤을 줄이며 소비자가를 8000원 미만으로 유지하고 있다.

 

22일 축산물품질평가원을 비롯한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계란 소비자 가격은 특란 한판(30개)을 기준으로 7026원을 기록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가 유행하던 지난 2021년 7월 이후 7000원을 넘긴 셈이다. 

 

▲ 한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계란들.[사진=연합뉴스]

 

대형마트들은 계란 가격을 7980원에서 7990원 수준으로 유지하며 가격 동결에 주력하고 있다. 다만 판매 촉진 행위는 자제하고 있으며, 구매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홈플러스는 2년전부터 유지해온 계란 가격을 7990원으로 유지했다. 이마트 또한 납품 가격이 10% 증가했지만 지난해 6월 7580원에서 7980원으로 올린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6월 7490원에서 7990원으로 올린 가격을 보존한다는 방침이다. 

 

대형마트들은 도매가격 부담이 심화됐지만, 조류인플루엔자(AI)가 유행하던 2021년과 비교하면 상황이 양호하다고 밝혔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수급량이 지난해 80~90% 수준으로 물량이 모자르지는 않다"며 "최근 살처분 사례가 일부 발생하지만 2021년과 비교해 규모가 제한적이며 전체적인 수급 기반은 유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계란 가격이 휴가철에 소비가 줄어들고 생산 기간을 84주령에서 87주령까지 늘려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대형마트들 또한 여름철 계란 소비 둔화 및 물량 증가로 인한 시세하락을 전망했다.

 

다만 오는 9월 사육 면적 최소 기준이 0.05㎡에서 0.075㎡로 50% 확대되며 생산량 하락 가능성이 엿보이고 있다. 오는 8월에는 노계를 정리하고 더 많은 병아리를 들여오려는 농가가 증가해 산란 축소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이다. 

 

대형마트는 추후에도 계란 가격 방어를 위해 신규 협력사 발굴과, 등급란과 동물복지란 등 상품을 추가로 운영해 소비자 선택 폭 증가 및 공급 리스크 분산을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유한코스메틱, 사명 변경으로 새 출발…“신뢰받는 ODM 파트너 도약”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유한양행 관계사 화장품 ODM 전문기업 ㈜코스온이 13일 사명을 ㈜유한코스메틱(Yuhan Cosmetics)으로 변경하고 새로운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사명 변경은 국내 1위 제약사의 연구 기술력과 품질 관리 역량을 화장품 산업에 접목해 차별화된 ODM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유한코스메틱은 새로운 비전으로

2

서초진흥 재건축, 59층 857가구 규모 초고층 아파트로 추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서울 강남역 초인접, ‘서초 진흥’ 아파트 재건축 조합이 통합심의 접수를 완료하고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서초진흥아파트 조합은 지난 24일 서울시에 통합심의를 접수했다. 지난 1월 정비계획 변경 고시 이후 통합심의 신청까지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특히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 방식 도입으로

3

IBK기업은행, 혁신리더 캠프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오는 31일까지 IBK충주연수원에서 거래 중소기업 핵심 인재를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혁신리더 캠프’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혁신리더 캠프’는 중소기업 핵심 인력인 중간 관리자의 역량을 단기간에 강화해 혁신리더로 양성하는 체험·실습 중심의 몰입형 과정이다. 커리큘럼은 경영전략, 마케팅, 인사·노무, 생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