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운용 "미국 상업용 부동산, 금융위기로 확대 안될 것”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5-08 13:47:09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이지스자산운용은 8일 국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대해 향후 1∼2년간 대출 연체율 및 부실자산 확대 가능성이 있겠지만, 과거 금융 위기 수준과 비교해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지스자산운용은 보고서에서 현재 PF 시장은 PF 공급 및 보증 주체의 다변화, PF 대상 조달 범위의 확대, 비주거 사업을 중심으로 한 PF 사업의 범위 및 참여 주체 확대 등의 요인으로 시공사와 금융사, 신탁사 등 단위 주체별로 리스크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사진=이지스자산운용]

 

또 브릿지론의 경우 준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 비중과 서울 등 수도권 비중이 과거 대비 높고 중대형 건설사의 자기자본 대비 PF 보증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충격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이지스자산운용은 "국내 PF 시장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연체율이 13.6%까지 치솟으며 금융 시장 전체에 큰 영향을 준 바 있지만, 팬데믹 이후 2021년 금리 인상으로 시작된 현재의 PF 상황은 지난해 말 평균 연체율이 2.7%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융 당국의 고강도 건전성 강화와 같은 적극적 조치로 과거와 같은 영향을 줄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지스자산운용은 미국 상업용 부동산 대출의 신용 위험이 금융권 전반에 시스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고금리에 따른 재융자 갭 확대와 오피스, 다세대 주택 섹터의 부실화 등으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은행권 대출 연체율이 아직 낮은 상태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지난해 대형 은행의 경우 1.5%, 중소형 은행의 경우 0.7% 연체율을 기록했는데, 이들 은행의 연체율이 금융 위기 이후 2009년 각각 9.6%, 7.6%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대출 손실 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