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판매 '고개'…KB손보 백내장 진단비 판매합류
손보사 백내장 진단비 보장 과당경쟁 조짐 우려 목소리↑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메리츠화재가 지난 6월 초 출시한 백내장 전용 진단비 200만원 보장 상품을 둘러싼 한도 축소 관련 논란이 커지고 있다. 7월 중순 GA영업현장에 진단비 한도를 8월에 축소하겠다고 예고했던 것과 달리 8월 초 소식지에서는 최대 진단비 200만원 보장 그대로 판매하는 내용이 그대로 담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지난달 진단비 축소를 핑계로 보험 가입을 늘리려는 반짝 절판 마케팅을 벌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최근 KB손해보험도 메리츠화재에 이어 '백내장 진단비'특약상품 판매에 합류하면서 향후 손보업계에 안과보험 진단비 특약 관련 경쟁이 성행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 |
▲메리츠화재 본사 전경. [사진=메리츠화재 제공] |
26일 메가경제가 입수한 GA영업현장에 배포되는 소식지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8월 소식지에 '직장인 필수 눈보험'이라는 제목글 게시하면서 '장시간 PC, 스마트폰으로 인한 눈질병' 추천 백내장 320만, 결막염 120만, 눈 다래끼 15만, 안검하수 120만 등 담보명을 언급해 추천상품이라고 홍보했다.
그러면서 ▲눈 검사비(5만원) ▲백내장 진단비(200만원) ▲특정 눈염증 진단비 ▲각막 특정 질환 진단비 등의 담보내용을 보장한다고 소개했다. 또 수술비와 관련해서는 ▲눈 특정 수술비(100만원) ▲눈 처치 및 수술비(10만원) ▲각막이식 수술비 ▲안과 질환 수술비(5만원) 기존 탑재도 포함돼 있었다.
이밖에도 ▲안과질환수술비(5만원) ▲민사소송법률비용 2000만원, ▲전기통신금융사기손해(피싱, 파밍, 스미싱, 메모리해킹 등) 300만원도 추가해 소개했다.
![]() |
▲메리츠화재가 GA영업파트에 배포하기 위해 제작한 소식지. |
이렇듯, 8월에 나온 소식지에서는 지난 7월 중순 제작한 GA영업지원파트에서 나온 ‘8월 초 200만원 백내장 진단비 축소 예정’('[단독] 메리츠화재, 백내장 진단비 최대 200만원 보장...8월에 축소', 메가경제 기사내용 참조)이라고 공지했던 것과 달리 기존 탑재내용을 홍보하고 있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메리츠화재가 백내장 진단비 특약 상품을 이용해 전형적인 '절판 마케팅'을 진행한 것이 아니냐고 의구심을 표한다. 전문가 일부에서도 장기적으로 봤을 때에 소비자 입장에서 괜한 보험 가입 유도로 인한 불완전판매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절판마케팅이란 보험사가 특정 보험상품의 ‘절판’이나 ‘가격인상’ 등을 강조하며 단기 판매율을 높이는 영업전략이다.
실제 영업현장에 있는 설계사들이 운용하는 블로그 등 SNS를 중심으로 6월 초부터 메리츠화재 안과보험 상품의 백내장 진단비 특약 보장 관련 ‘이슈몰이 예상, 손보업계 최초 백내장 진단비 특약’이라는 문구를 내걸며 보험모집을 벌여왔다.
금융소비자연맹 관계자는 "메리츠화재는 백내장 진단비 보장 관련해 높은 손해율을 진단비를 줄이려다 오히려 반짝 막판 절판 마케팅을 벌여 가입수요를 늘리려는 형국"이라며 "문제는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설계사들이 보험사의 소식지를 믿고, 보험료 인상 예정만 강조해 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메리츠화재에 이어 KB손해보험도 이달부터 일부 건강보험 상품에 200만원 한도 백내장 진단비 특약을 신규 탑재해 눈길을 끈다. KB손보 역시 메리츠화재의 백내장 진단비 특약 상품 담보와 동일하며, 실손보험에서 비급여로 인해 보장받지 못했던 것을 특약으로 대체하는 상품을 만든 취지로 풀이된다.
![]() |
▲KB손보의 백내장 진단비 특약 상품 출시 관련 8월 소식지 캡처 |
KB손보 관계자는 "메리츠화재가 먼저 출시한 백내장 진단비 특약과 비슷하다"며 "입원비 치료 특약에 맞춰 진단비만을 보장하기에 수술로 인한 분쟁을 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크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백내장에 대한 진단비 특약 담보 상품 출시가 향후 손보업계에 과당경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손보사들이 메리츠화재 마케팅을 많이 따라하는 경향이 큰데, 이번 백내장 진단비의 경우 과잉진료 실손 수술비 부지급 이슈논란 속 틈새시장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되려 과거 유사암 진단비 과당경쟁처럼 비슷한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