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홍콩법인, 레고켐바이오 인수 이면...법인세 국내보다 9.9%싸다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8 10:47:12
  • -
  • +
  • 인쇄
인수 소식에도 증권가 반응 '썰렁'...시장에서 52주 신저가 갱신
팬오리온 곳간 국내보다 튼튼...3세 담경선 이사장 배당도 유리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오리온그룹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를 인수한 가운데 인수 주체로 국내 지주사인 오리온홀딩스가 아닌 홍콩법인 '팬오리온코퍼레이션'(이하 팬오리온)을 내세워 그 배경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자금 조달의 원활함과 절세를 노리지 않았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그룹은 5500억원을 투자해 레고켐의 지분 25.73%를 확보하고 최대주주에 올라섰다. 이번 지분 인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와 구주 매입을 통해 이뤄진다.

 

 

▲오리온 그룹이 홍콩법인을 통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를 인수한 배경이 주목 받고 있다.


세부적으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796만3283주를 5만9000원에 배정받았고, 구주는 레고켐 창업자 김용주 대표이사와 박세진 사장으로부터 기준가 5만6186원에 140만주를 매입해 총 936만3283주를 확보했다. 대금 납입 예정일은 오는 3월 29일이며, 오리온은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레고켐을 계열사로 편입한다.

레고켐을 인수한 팬오리온의 자산은 3분기 기준 9221억원이다. 부채는 40억원에 불과하며, 자본은 9179억원, 누적 매출은 2727억원, 누적 순이익은 2797억원이다. 재무상태가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 받는다. 


같은 기간 국내 지주사인 오리온홀딩스의 자산은 5조2062억원, 부채는 9370억원, 자본은 4조2691억원, 누적 매출은 2조1784억원, 누적 순이익은 2024억원이다. 팬오리온보다 규모는 월등하나 1조원에 달하는 부채가 부담스럽다. 더욱이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4323억원으로 집계돼 현금유동성 측면에서 인수대금 마련이 여의치 않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오리온그룹 입장에서는 오리온홀딩스 대신 곳간 사정이 넉넉한 팬오리온을 통해 레고켐을 인수하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팬오리온을 통한 인수로 세금 절감 혜택도 누릴 수 있다. 국내 법인세는 지방소득세를 포함해 26.4% 비율이다. 하지만 홍콩의 법인세율은 16.5% 수준으로 국내보다 9.9% 낮다.

레고캠 인수 소식에 증권가의 반응은 냉랭하다. 오리온의 지분 인수 소식 다음날인 16일, 오리온 주가는 전일보다 17%가량 떨어진 9만6600원으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17일에도 7% 가까이 하락하며 장중 9만원선 아래로 떨어졌다. 레고켐바이오의 주가도 16일 4.74% 떨어진 5만2200원으로 장을 마치며 썰렁한 시장 반응을 면치 못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제과사업 회사의 바이오 사업 투자 확대로 인해 음식료 업체가 보유한 실적 안정성 측면의 투자포인트가 희석되고, 이종사업 투자에 따른 시너지 의문이 확대될 수 있다"며 "기존 투자자들의 투자포인트가 이번 신규 지분 투자의 방향성과 배치될 수 있어 주주 구성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주가 밸류에이션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레고켐바이오에 대해 연결 회계처리 된다면 오리온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0% 이상 하향 조정되면서 전사 실적 가시성이 크게 낮아질 전망"이라며 "향후 실적 전망치는 연결 회계처리 여부에 따라 하향 조정 폭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레고켐 인수로 오너 3세인 담경선 오리온재단 이사가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담서원 상무의 누나인 담경선 이사가 팬오리온의 지분1.61%를 보유하고 있어서다.

향후 레고캠의 실적에따라 배당이 이루어 질 경우 담경선 이사도 두둑한 배당 이익을 챙길 수 있다.

팬오리온의 지분은 오리온홀딩스가 95.15%, 담철곤 회장 3.23%, 담경선 이사 1.61%를 각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펑크비즘, 호나우지뉴 쇼 RWA 프로젝트 공개… 브라질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하는 무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펑크비즘(Punkvism)이 또 한 번 새로운 도전을 내놓았다. 바로 ‘호나우지뉴 쇼’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브라질 축구 경기 RWA 프로젝트다. 오는 2025년 11월 9일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브라질 대 스위스 경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투자 상품이 아니라, 세계적인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 뛰고 즐길 수 있는 전례

2

국회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 개최
[메기경제=전창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문대림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모빌리티학회(회장 정구민 국민대 교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회장 김대환), 한국수소연합(회장 김재홍) 등이 주관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가 지난 9월 3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국제 표준 및 규제

3

안호영 환노위원장, “건설현장 안전·노동 문제 해결 국회가 적극 나서겠다”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안호영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오전 11시, 서울 건설회관 8층 회의실에서 대한건설협회 회장 및 임원진 20여 명과 함께 안전 · 노동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호영 위원장을 비롯해 대한건설협회 한승구 회장 , 회원부회장 , 시도회장 등 20 여 명이 참석해 건설업계의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