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기준금리 두달연속 0.25%p 인상···연 1.50→1.75%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5-26 09:47:47
  • -
  • +
  • 인쇄
고물가, 가계부채, 美빅스텝 등 움직임 대응
연말까지 기준금리 인상 지속될 듯
작년 11월, 올해 1월, 4월 각각 연 0.25%p 인상

▲ 한국은행. [사진= 연합뉴스]

 

 

이창용 총재 부임 후 처음 열린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포인트) 인상하는 결정을 내렸다. 지난 4월 0.25%p인상이후 두달연속 상승이다. 높은 물가상승율과 금융불균형, 미국의 '빅스텝과 조기 긴축 움직임 등이 사유로 꼽힌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p 올리기로 결정했다. 작년 5월 기준금리를 연 0.50%p로 낮춘 이후 같은해 8월, 11월, 그리고 올해 1월, 4월 각각 0.25%p씩 인상했고 이번에 추가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기준금리는 1.75%로 올라섰다.

지난 4월 회의는 금통위 의장을 겸하는 이창용 총재 취임 전이라 총재 없이 기준금리 결정이 이뤄졌다. 회의는 의장 대행인 주상영 금통위원이 주재했다

한은은 재작년 3월 16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0.75%로 0.5%포인트 내렸다. 당시 인하로 사상 처음 '0%대 금리시대'를 열었다. 코로나19가 경제위기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긴급 조치였다. 같은 해 5월에 재차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0.5%로 내렸다.

금통위의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게 예상되는 가운데 나온 결정이다. 물가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 이른바 '금융 불균형' 문제를 방치하기 어렵고 미국의 '빅스텝'결정과 조기 긴축정책 움직임이 금리인상의 이유다.

한은에 따르면 물가 상승 압력 확대에 따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올해 들어 매달 상승하고 있다. 올해 1월 2.6%였던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달 3%대를 돌파, 이달 3.3%까지 치솟았다. 이는 2012년 10월 이후 최고치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임금과 상품 가격 등에 반영돼 실제로 물가가 올라가는 파급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은은 한번에 0.5%포인트를 올리는 '빅스텝' 결정은 내리지 않았다. 우리 경제가 위축 국면에 들어섰다는 점에서 빅스텝 보다는 연말까지 꾸준히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예상이 우세하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악재로 경기 침체가 심화되고 기준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불가피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타임테라스, 10월 한 달간 ‘가을 문화 축제’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타임테라스는 10월 한달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한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오는 6일부터 매주 주말 오후 2시와 6시 A블록 아트리움에서 ‘테라스 라이브’를 진행한다. 타임테라스의 대표 문화 콘텐츠인 테라스 라이브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으로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이번 공연은 추석 황금연휴에 맞춰 인

2

식품업계, 한가위에 신메뉴와 이벤트 통해 소비자 지갑 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올해 추석 연휴가 최장 10일에 달하면서 외식·음료 업계가 다양한 신메뉴와 이벤트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업계는 한가위의 전통적인 정취와 현대적인 감각을 결합해, 가족 단위 고객부터 젊은 세대까지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도미노피자는 가을의 제철 맛을 담은 ‘추석 제철 베스트 TOP 4’를 선보였다.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와 블랙

3

도미노피자, 추석 맞아 '베스트 TOP 4' 피자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도미노피자가 명절 추석을 맞아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도미노피자는 긴 추석연휴와 가을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추석 제철 베스트 톱 4'를 선보인다. 이번 도미노피자의 톱 4는 새우+고구마 조합인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 또는 블랙타이거 슈림프에 고구마쥬 엣지를 더한 피자 2종과 고객 커스텀 포테이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