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IB] 미래에셋증권 발행어음업 진출···사업확장 청신호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5-13 09:39:26
  • -
  • +
  • 인쇄
한국투자,NH투자증권, KB증권이어 증권사 4번째
발행어음업 통해 최대 18조원 자금 조달 여력확보
IMA(종합금융투자계좌) 사업도 진출 가능
▲ 미래에셋증권 센터원 [사진=미래에셋증권 제공]

 

미래에셋증권이 발행어음업(단기금융업무) 최종 인가를 받았다. 발행어음업을 통해 최대 18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겼다. 아울러 국내 증권사 최초로 종합금융투자계좌(IMA)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문도 열렸다.


금융위는 12일 오후 정례회의를 열고 미래에셋증권의 발행어음업 인가 신청 안건을 상정·의결했다. 지난 2017년 7월 금융당국에 발행어음업 인가를 신청한지 약 3년10개월 만이다. 
 

미래에셋증권은 "발행어음업 최종 인가를 바탕으로 자본시장 성장과 경제 재도약에 핵심 요소인 모험자본 활성화에 앞장서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난 2017년 12월 공정거래위원회의 '일감 몰아주기' 조사로 인가안 심사가 중단됐다가 지난해 5월 공정위가 검찰 고발 없이 시정명령과 과징금만 부과하는 등 심사 중단 사유가 해소되면서 금감원의 심사가 재개됐다. 최근에는 미래에셋증권의 외국환거래법 위반 혐의를 조사한 검찰이 별다른 형사제재 없이 사건을 종결하면서 심사에 속도를 냈다.

발행어음업은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초대형 IB(투자은행) 핵심 업무로 자체 신용을 바탕으로 만기 1년 이내인 단기 어음을 발행·매매·인수하는 금융업무다. 자기자본 최대 2배의 자금(미래에셋증권은 최대 18조2000억원)을 조달·운용하는 발행어음업을 할 수 있다. 현재까지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3곳만 발행어음업 인가를 받았다. 


미래에셋증권은 IMA(종합금융투자계좌) 사업에도 진출할 수 있다. IMA는 자기자본이 8조원을 넘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가 발행어음업 인가를 얻게 되면 할 수 있는 사업으로, 이 조건을 충족하는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밖에 없다. IMA는 고객에게 원금을 보장하며 일정 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발행어음과 같지만, 발행 한도가 없다는 게 특징이다.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는 전날 ‘당국의 건전성규제 조치의 이행과 적정한 리스크 관리’를 반영해 미래에셋증권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기업신용등급은 ‘Baa2’ 그대로 유지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이윌미디어, 글로벌 숏폼 '혼검:헌터스' 촬영 성료...'꿈에서 자유로' 본격 제작 돌입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아이윌미디어 제작 글로벌 숏폼 드라마 ‘혼검:헌터스’가 지난 9월 말 촬영을 마쳤다. ‘혼검:헌터스’는 유튜버 강무가 여검객 아라치의 혼과 만나 현대 사회에 출몰한 귀물들을 퇴치하는 판타지 액션물이다. 극중 김진환은 ‘강무’ 역을 맡아 첫 주연임에도 깊은 몰입과 섬세한 연기로 제작진의 호평을 받았다. 안재모는 욕망의 메인 빌런으로

2

CJ온스타일, 협력사 지원 AI 데이터 플랫폼 본격 가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온스타일이 협력사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CJ온스타일은 협력사 전용 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본격 가동하며, AI 데이터 분석 등 협력사의 데이터 기반 성장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AI가 매출 데이터뿐 아니라 고객의 소리(VOC)와 리뷰를 정밀 분

3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DF2 사업 접는다..."적자 확대 따른 결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라면세점에 이어 신세계면세점도 인천공항에서 일부 철수 카드를 꺼내들었다. 신세계는 30일 신세계디에프가 이사회를 열어 신세계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2(화장품·향수·주류·담배)권역에 대한 영업을 정지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면세점은 “고환율, 경기 둔화, 주 고객의 구매력 감소 및 소비 패턴의 변화 등 면세 시장에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