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초부유층 자산관리 핵심은 '마.포.스'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6 10:26:36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초부유층 고객이나 법인 고객들의 자산 관리를 담당하는 PB(프라이빗 뱅커)들은 오프라인 미팅을 통한 상담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삼성증권이 초고액자산가 전담 브랜드인 SNI PB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SNI PB들은 일주일간 평균 4회 고객 오프라인 컨설팅을 진행했고 그에 따른 이동거리는 마라톤 풀코스 거리(42.195km)에 맞먹는 41.8km에 달했다. PB들은 기본 근로시간 중 절반 이상을 오프라인 미팅 관련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고객 자산 포트폴리오 분석 28%, 오프라인 고객 미팅/컨설팅(이동시간 포함) 18%, 고객 맞춤형 자료 작성에 10%의 시간을 할애한다고 삼성증권 SNI PB들은 응답했다. 이는 최근 금융시장환경 및 주요 고객층의 변화에 따라 오프라인 미팅이 점차 활성화된 영향이다.

 

▲[사진=삼성증권]

 

SNI PB가 느끼는 SNI 고객들의 가장 큰 수요는 '고객 및 가족의 포트폴리오 분석(44%)'. 이어 '부동산, 세무 등과 관련한 전문가 컨설팅(27%)', '고객 관련 법인의 재무적, 비재무적 컨설팅(27%)' 순이었다. 반면, '실시간 주식/채권 시황 동향 안내'는 단 2%에 그쳤다. SNI 고객의 경우 주식이나 채권 관련 시황을 통한 매매에 수요 보다는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자산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SNI PB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시장 및 상품 관련 스터디(40%)'을 가장 많이 응답했는데,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환경을 적시에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뒤를 이어 '전문가 네트워크(33%)', 'IB 등 법인영업 관련 지식(16%)', '부동산, 세무 관련 지식(7%)' 등이 PB에게 필요한 역량 순위로 이름을 올렸다. 1990~2000년대에만 해도 PB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꼽혔던 '주식 트레이딩 역량'은 이번 설문조사에서 한 명도 응답하지 않았는데, 이는 단순 주식중개에서 종합자산관리로 변화된 영업문화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윤서영 삼성증권 SNI패밀리오피스센터2지점 수석PB는 "최근 법인 오너들의 경우 가업승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운영하는 법인의 재무적, 비재무적 니즈가 크게 높아졌다"며 "시장 및 상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가 그룹과의 네트워크, IB 관련 역량, 세무/부동산 관련 지식들을 꾸준히 스터디해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해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알바몬, '면접제안' 적용공고 103% 급상승...실질적 성과
[메가경제=정호 기자]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이 알바생의 ‘노쇼(no-show)’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한 ‘면접제안’ 기능이 출시 1년 만에 실질적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28일 알바몬에 따르면 사장님과 알바생이 서로 믿고 일할 수 있는 고용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알바 성수기인 여름방학 시즌 발맞

2

카페24, 창업·글로벌 진출 일방통행 '부스트 2025' 행사 개최 예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카페24가 구글, 메타 등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창업 시작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사업 전 단계에 걸친 맞춤형 전략이 공개되는 무대를 마련한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이 10월 23일 오후 2시, 강남 엘리에나호텔에서 ‘온라인 사업자 성장 전략’을 주제로 오프라인 컨퍼런스 '카페24 부스트(BOOST) 2025&

3

알리익스프레스, 한국유통학회 '대학생 아이디어 경진대회' 후원
[메가경제=정호 기자]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의 일환으로 모회사 알리바바 그룹을 통해 한국유통학회(KODIA)가 주관하는 ‘제5회 대학생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후원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국내 대학생 및 청년 전문가들이 디지털 커머스 발전과 한국 유통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