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펜션서 안전사고 年 200건 이상"...공정위, 숙박시설 안전주의보 발령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3-21 14:04:31
  • -
  • +
  • 인쇄
10대 미만이 36.5% '최다'...'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 미끄럼 가장 많아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여행 대신 국내 여행을 택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국내 숙박시설 내 안전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끄럼 방지용 제품, 침대 펜스 등 안전장치가 갖춰지지 않은 숙박시설에서 어린이·고령자 등 안전 취약계층 사고 발생 시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공정거래위원회 [사진=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21일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숙박시설 관련 안전사고는 총 772건으로 2019년 318건, 2020년 227건, 2021년 227건 등 매년 200건 이상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10세 미만의 안전사고가 282건(36.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 107건(13.9%), 30대 106건(13.7%)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 미만 사고를 분석한 결과, 미취학 아동(0~6세)의 사고가 88%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이중 71.8%가 '미끄러짐·넘어짐', '추락'으로 발생했다.

발생 장소별로는 '호텔'이 292건(37.8%)으로 가장 많았고, '펜션' 144건(18.7%), '휴양시설' 85건(11%) 등 순이었다.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전 연령에서 품목 기준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건은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에서 미끌어지는 사고로 조사됐다. 30대 이상에서는 다발 품목 1위에 올랐다.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 사고의 경우 94.4%가 '화장실·욕실'에서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0세 미만에서는 '침대'가 53건(18.8%)으로 가장 많았고,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가 24건(8.5%)으로 다음 순이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가 18건(31.6%)으로 가장 많았고, '침대'가 5건(8.7%)으로 집계됐다.

10대와 30대의 위해다발품목 중 수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33건으로, '미끄러짐·넘어짐'이 11건(33.3%), 다이빙 등으로 인한 '추락'이 9건(27.3%)이었다.

또 익수 사고도 2건 접수됐는데, 모두 미취학 아동에게 발생한 사고다. 안전요원이 없는 숙박시설 내 수영장의 경우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안전사고 위해 원인으로는 '물리적 충격'이 474건(61.4%)으로 가장 많았고, '제품 관련' 125건(16.2%), '식품 및 이물질' 91건(11.8%) 등이었다.

물리적 충격에 따른 사고는 주로 침실(137건)과 화장실·욕실(125건)에서 발생했다.

'화재·발연·과열·가스' 관련 사건(54건, 7.0%)은 뜨거운 고온 물질로 발생한 것이 55.6%(30건)으로 가장 많았다.

위해 증상으로는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343건(44.4%)으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 및 타박상' 117건(15.2%),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96건(12.4%) 등 순이었다.

위해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326건(42.2%), '둔부, 다리 및 발' 151건(19.6%), '팔 및 손' 119건(15.4%) 등으로 나타났다.

공정위 관계자는 "봄철을 맞아 가족여행, 나들이 등으로 숙박시설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 내 침실, 수영장, 바비큐장 등 여러 장소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