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어려운 여건 속 임금 인상, '환자' 생각해 달라"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노원을지병원이 노조와의 합의점을 찾지 못해 장기 파업 사태가 우려된다. 의정 갈등으로 지역의료가 붕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서울 북부지역의 종합병원이 파업 여파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상황에 놓였다.
지난달 10일 파업을 선언한 노원을지병원 노조는 2017년 합의안인 ▲2020년까지 전체 정규직 비율 90% 상향 유지 ▲2022년까지 타 사립대병원과 임금 격차 해소 ▲교대근무자 처우 개선 ▲노조 활동 보장 등을 요구하며 장기 파업을 유지하고 있다. 심지어 차봉은 노조지부장은 삭발 투쟁까지 불사하며, 사측의 성실한 교섭을 촉구했다.
![]() |
▲ 노원을지병원이 한달여째 파업을 이어가고있다.[사진=보건의료노조] |
노원을지병원 관계자는 "의·정갈등 장기화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2.5%의 임금인상안을 제시했다”며 “지난 2017년 이후 매년 임금인상을 단행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료기관의 역할과 책임이 어느 때보다 막중한 때 노조의 파업으로 환자 및 지역민들께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의정 갈등으로 대학병원들이 경영 악화를 호소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노원을지병원은 임금 동결이 아닌 임금 인상 카드를 꺼냈다. 하지만 노조측은 사측이 처음 제안한 1.5% 임금 인상안을 거부했다. 이후 사측이 파업을 조속히 마무리 하기위해 최종 임금 인상안으로 2.5%를 제시했으나 이도 거부했다.
심지어 노조측은 사측을 압박하기위해 노원을지병원 이외에도 의정부 을지대학교병원까지 진출해 원정 집회를 열었다. 사측은 노측의 강경투쟁에 대해 '악의적 비방글이 담긴 피켓시위'를 벌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노조측이 주장하는 임금인상률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2017년 노사합의서에 따르면 '동급' 사립대 병원과의 임금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의했음에도 불노조측은 매출 규모를 대변하는 '동급' 사립대 병원이라는 중요한 팩트는 빼버린 채 ‘타 사립대 병원’이라는 억지 주장으로 그간 사측의 노력을 매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노원을지병원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임금인상을 단행해왔다. 2017년 11.30% 인상을 시작으로 ▲2018년(10.11%) ▲2019년(11.32%) ▲2020년(3.46%) ▲2021년(3.01%) ▲2022년(5.0%) ▲2023년(4.5%)로 매년 임금을 인상하며, 동급 대학병원과의 임금 격차를 좁히기 위해 노력해왔다.
사측은 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해서도 최선을 다했다는 입장이다. 노원을지병원은 지난 10월 기준 정규직 비율 86.92%다. 노측과의 합의사항인 90% 이상을 유지 하지 못하고 있지만 의료계에서는 코로나19 감염증 사태, 의정 갈등 등 대외 악재 속에서도 정규직 비율이 이정도로 높은 것은 사측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평가다.
노원을지병원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 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직원들은 환자 곁을 묵묵히 지키고 있다. 현재 대체인력 투입과 비상 근무체제를 통해 환자 및 보호자 분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필수 유지 업무인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분만실, 인공신장실 등도 정상 운영 중이며, 이른 시간 내 적극적인 노사 합의를 통해 진료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