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은정 노무사의 바른산재 길잡이]⑯ 파이프 용접공에게 발생한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으려면

곽은정 / 기사승인 : 2022-05-30 10:40:53
  • -
  • +
  • 인쇄

분진작업 수행자에게 호발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기도와 폐 실질에 만성 염증이 발생하여 회복 불가능한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질환이다.

직업적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에 걸리는 고위험군 직종으로는 광원, 할석공, 도장공, 용접공, 주물공 등이 있다. 작업을 수행하면서 분진 및 유해인자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중 배관 용접을 오랜 기간 수행하다가 COPD에 걸린 근로자의 경우에 대하여 보기로 한다.
 

▲ [사진=픽사베이 제공]

COPD를 유발하는 직업적 원인물질은 석탄・암석 분진, 카드뮴 흄, 결정형 유리규산, 곡물 분진, 디젤연소물질, 면 분진 등이 있다. COPD와 업무 간 관련성을 인정받기 위하여는 20년의 분진 노출력을 입증하여야 한다. 지하나 터널, 탄광 갱내 등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한 자는 예외적으로 20년 미만이더라도 업무관련성이 인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10년 이상 노출되어야 인정되는 경향이 있다.

배관 용접공의 경우 실내에서 작업하기는 하나, 20년의 직업력을 충족하여야 업무관련성을 입증하기가 수월하다.

배관 용접공은 철판을 파이프 모양으로 만들어 이음새를 용접하여 이어붙이는 작업을 수행한다. 용접 방식은 이산화탄소가스를 이용한 아크용접,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용접 등 다양하다. 모재가 녹아 두 물체가 접합하는 과정에서 금속 흄과 산화철 분진이 발생한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 용접공의 경우 가까이서 분진에 노출되기 때문에 COPD 외에도 호흡기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승인을 받은 사례의 재해자는 26년간 해당 작업을 수행하였고, 용접 외에도 연마 작업을 수행하여 고농도의 분진과 금속 흄에 노출되어 업무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1990년대 초부터 같은 업무를 수행하였는데, 과거에는 작업 시에 마스크 지급이 되지 않은 적이 많았고 작업 환경이 현재보다 열악했다는 점 또한 함께 주장하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한 번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거나 악화되어 증상 호전이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이는 직업적 요인에 의하여서만 발병하는 질병은 아니다. 흡연 등 개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병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산재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업무관련성 입증을 위한 근거자료를 충분히 준비하여 신청하여야 할 것이다.

[노무법인 한국산재보험연구원 곽은정 노무사]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곽은정
곽은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증권 "롯데관광개발, 3연속 깜짝 실적에도 여전히 저평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나증권은 롯데관광개발이 올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3연속 실적 서프라이즈를 달성했지만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고 6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만6000원에서 2만9000원으로 올렸다. 롯데관광개발의 올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67억원, 530억원을 기록하며 사

2

동원홈푸드, 15년 연속 대통령상 한우 낙찰···‘역대 최고 경매가 갱신’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동원홈푸드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축산 도매 온라인몰 ‘금천미트’가 15년 연속 대통령상 한우를 낙찰받았다고 6일 밝혔다. 동원홈푸드는 5일 충북 음성에서 열린 ‘제28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최고 등급의 한우를 대회 사상 최고가인 9,401만 원에 낙찰받았다. 올해의 대통령상 한우는 1++A등급, 출하체중 911

3

CJ온스타일, 모바일 라방 훈풍에 3Q 영업익 126억⋯전년比 37.5% 늘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온스타일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126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7.5%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3557억원으로 6.5% 늘었다. CJ온스타일에 따르면 올 3분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이 62.8% 증가했다. '기은세의 은세로운 발견' 등 신규 대형 IP 인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