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찬오 노무사의 진폐산재이야기]⑨ 폐암에 대한 산재 인정 요건과 보상 내용

전찬오 / 기사승인 : 2022-05-24 23:41:46
  • -
  • +
  • 인쇄

광산근로자들은 진폐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기타 폐질환 등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번 시간에는 폐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폐 자체에서 발생하거나(원발성 폐암) 다른 장기에서 생긴 암이 폐로 전이되어(유방암의 폐전이 등)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이성 폐암의 경우 산재 신청이 어려워 이하에서는 원발성 폐암에 대해 다루겠다.

원발성 폐암의 종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하는데 80~85%는 비소세포폐암이다. 이는 다시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으로 나뉜다.

폐암이 산재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에 ①노출여부, ②노출된 기간, ③노출량, ④흡연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흡연이다.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15~80배 정도이다.

그러나 폐암은 직업적으로 유해물질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직업병으로, 원인 물질에는 석면, 6가크롬, 결정형유리규산, 라돈, 타르, 베릴륨, 비소, 실리카, 니켈, 카드뮴 등이 있다.
 

▲ [사진=픽사베이 제공]

해당 물질에 노출되는 직업군으로는 절연제·단열제 업무, 페인트 제조, 용접, 광업, 자동차 도금, 살충제·제초제 제조 및 사용, 모피 관련 업, 토건업 등 유해물질에 따른 다양한 업무가 있다.

그러나 흡연력에도 불구하고 업무상 노출되는 유해물질에 노출기간, 노출량 등 업무와 폐암과의 인과관계를 입증한다면 산재 승인이 가능하다.

폐암이 산재로 인정된다면 다음과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요양급여로서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치료에 들어가는 치료비와 간병비 등이다. 이 경우 비급여 항목은 지급되지 않는다.

두 번째는 휴업급여이다. 요양으로 취업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계보장의 성격으로 지급하는 보상으로 평균임금의 70%가 요양기간 동안 지급된다.

세 번째는 치유 후 장해가 남게 된다면 장해급여를 지급한다.

네 번째는 폐암으로 사망하는 경우 유족에게 유족연금 또는 유족일시금으로 지급되는 유족급여가 있다.

지금까지 폐암 산재에 대해 알아보았다.

폐암의 경우 잠복기가 길어 해당 사업장에서 이직 또는 퇴직한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 업무와의 인과관계에 대해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 보는 것이 필요하다.

[노무법인 산재 정선지사 전찬오 노무사]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찬오
전찬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