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찬오 노무사의 진폐산재이야기]⑨ 폐암에 대한 산재 인정 요건과 보상 내용

전찬오 / 기사승인 : 2022-05-24 23:41:46
  • -
  • +
  • 인쇄

광산근로자들은 진폐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기타 폐질환 등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번 시간에는 폐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폐 자체에서 발생하거나(원발성 폐암) 다른 장기에서 생긴 암이 폐로 전이되어(유방암의 폐전이 등)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이성 폐암의 경우 산재 신청이 어려워 이하에서는 원발성 폐암에 대해 다루겠다.

원발성 폐암의 종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하는데 80~85%는 비소세포폐암이다. 이는 다시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으로 나뉜다.

폐암이 산재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에 ①노출여부, ②노출된 기간, ③노출량, ④흡연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흡연이다.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15~80배 정도이다.

그러나 폐암은 직업적으로 유해물질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직업병으로, 원인 물질에는 석면, 6가크롬, 결정형유리규산, 라돈, 타르, 베릴륨, 비소, 실리카, 니켈, 카드뮴 등이 있다.
 

▲ [사진=픽사베이 제공]

해당 물질에 노출되는 직업군으로는 절연제·단열제 업무, 페인트 제조, 용접, 광업, 자동차 도금, 살충제·제초제 제조 및 사용, 모피 관련 업, 토건업 등 유해물질에 따른 다양한 업무가 있다.

그러나 흡연력에도 불구하고 업무상 노출되는 유해물질에 노출기간, 노출량 등 업무와 폐암과의 인과관계를 입증한다면 산재 승인이 가능하다.

폐암이 산재로 인정된다면 다음과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요양급여로서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치료에 들어가는 치료비와 간병비 등이다. 이 경우 비급여 항목은 지급되지 않는다.

두 번째는 휴업급여이다. 요양으로 취업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계보장의 성격으로 지급하는 보상으로 평균임금의 70%가 요양기간 동안 지급된다.

세 번째는 치유 후 장해가 남게 된다면 장해급여를 지급한다.

네 번째는 폐암으로 사망하는 경우 유족에게 유족연금 또는 유족일시금으로 지급되는 유족급여가 있다.

지금까지 폐암 산재에 대해 알아보았다.

폐암의 경우 잠복기가 길어 해당 사업장에서 이직 또는 퇴직한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 업무와의 인과관계에 대해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 보는 것이 필요하다.

[노무법인 산재 정선지사 전찬오 노무사]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찬오
전찬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증권 "롯데관광개발, 3연속 깜짝 실적에도 여전히 저평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나증권은 롯데관광개발이 올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3연속 실적 서프라이즈를 달성했지만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고 6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만6000원에서 2만9000원으로 올렸다. 롯데관광개발의 올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67억원, 530억원을 기록하며 사

2

동원홈푸드, 15년 연속 대통령상 한우 낙찰···‘역대 최고 경매가 갱신’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동원홈푸드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축산 도매 온라인몰 ‘금천미트’가 15년 연속 대통령상 한우를 낙찰받았다고 6일 밝혔다. 동원홈푸드는 5일 충북 음성에서 열린 ‘제28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최고 등급의 한우를 대회 사상 최고가인 9,401만 원에 낙찰받았다. 올해의 대통령상 한우는 1++A등급, 출하체중 911

3

CJ온스타일, 모바일 라방 훈풍에 3Q 영업익 126억⋯전년比 37.5% 늘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온스타일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126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7.5%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3557억원으로 6.5% 늘었다. CJ온스타일에 따르면 올 3분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이 62.8% 증가했다. '기은세의 은세로운 발견' 등 신규 대형 IP 인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