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전담조직 밀착 컨설팅해 초저·중·고위험 상위권 수익 거둬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한화생명은 작년말 ‘한화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TDF2’의 1년간 누적 수익률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중위험등급 상품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고 4일 밝혔다.
고용노동부 발표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2023년 4분기 수익률 현황에 따르면 ‘한화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TDF2’ 연간 수익률은 모든 금융권 중위험등급 상품 평균 10.91%보다 3.74%P 높은 14.65%를 달성했다.
![]() |
▲작년말 기준 ‘한화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TDF2’의 1년간 누적 수익률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중위험등급 상품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사진=한화생명] |
한화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TDF2는 글로벌 주식·채권·대체자산으로 분산투자하는 상품으로 목표 시점이 다가오면 위험자산 비중을 줄이고 안전자산 비중을 높여 위험 수준을 조절한다. 아울러 한화생명은 고위험등급에서 ‘한화생명 디폴트옵션 고위험 TDF2’가 6개월 기준 6.68%의 수익률로 전체 1위에 올랐다.
초저위험등급에서는 ‘한화생명 디폴트옵션 초저위험 이율보증형’이 6개월 기준 2.0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4위로 랭크되는 등 각 부문이 고르게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은 DC(확정기여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 가입자 수익률 향상을 위해 작년 7월부터 시행됐다.
가입자가 퇴직연금 적립금에 별도 상품 운용지시를 하지 않으면 사전 택한 상품으로 적립금이 자동 운용된다. 작년말 생명·손해보험, 은행·증권 등 41개 금융사에서 306개 디폴트옵션 상품을 판매하는데 초저위험 41개, 저위험과 중위험 각각 89개, 고위험 상품은 87개에 달한다.
특히 한화생명은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장하는 ‘원리금보장상품’은 물론 국내외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자산배분형 BF펀드’, 은퇴 시기가 다가올수록 위험자산을 줄이고 안전자산 비중을 높이는 ‘글로벌 자산배분 TDF펀드’ 등 고객 수요에 맞춤형 디폴트옵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한화생명은 퇴직연금 컨설턴트가 직접 사업장을 방문해 자산관리 상담서비스를 진행하는 ‘클리닉데이(Clinic Day)’를 운영하고 있다. 퇴직연금에 대한 상담뿐만 아니라 재테크 전반에 대한 노하우를 함께 제공해 투자 공부에 시간을 내기 힘든 직장인에게 호응을 받고 있다.
앞서 한화생명은 지난해 디폴트옵션 제도 시행 전에 보험업계에서는 처음 ‘디폴트옵션 웨비나’ 서비스를 오픈해 고객에게 제도와 상품 안내를 진행한 바 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가입자의 수익률 개선이란 디폴트옵션 도입 취지에 맞춰 고객에게 최고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한화생명은 전문적인 상품 관리 역량을 토대로 장기적 안목으로 디폴트옵션 서비스를 꾸준하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