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송 또 죄송" 조성호 대표, 큐텐 사태에 '전전긍긍?'
[메가경제=정호 기자] 공영홈쇼핑이 큐텐으로부터 받지 못한 21억원 정산금을 두고 '피해자'라는 입장을 강조했다. 조성호 대표가 오는 9월초 임기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불거진 사안이다.
2일 공영홈쇼핑 관계자는 "이번 미정산금 사태와 관련해 손실을 입은 건 우리"라며 "문제는 자본잠식보다 현금 유동성의 문제라며, 애초에 협력사와 티몬과 정산금 지급 시기가 다른 부분이 사태를 키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문제의 발단은 티몬과 위메프에서 현금으로 정산금액을 돌려막다가 발생한 것이므로 손해를 해소하기 위해 끝까지 끝까지 쫓아가서 미정산금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
▲ 조성호 공영홈쇼핑 대표이사.[사진=공영홈쇼핑] |
앞서 국회 산업통사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박상웅 국민의힘 의원실이 제출 받은 자료는 공영홈쇼핑의 미정산 내역을 담고 있다. 공영홈쇼핑은 전달 8억4000만원의 손해를 입은 상태다. 추정치로 이달 9억5000만원, 9월 3억4000만원의 정산금을 추가로 받아야 하며 총금액은 21억3000만원이다.
중·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확대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공영홈쇼핑 입장상 중·소상공인들의 피해 또한 우려됐다. 공영홈쇼핑은 이 금액을 회사 자본으로 해결한 상황이다. 큐텐에 돈을 받지 못하면 회사 손실로 누적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업을 승인한 조성호 대표 또한 책임을 피해갈 수 없어 보인다. 조 대표는 지난 30일 진행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의원들의 지탄을 받기도 했다. 당시 박 의원의은 "현재 진행 상황으로 봐서 돈을 받지 못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다. 이에 조대표는 "위메프를 비롯한 9개 플랫폼과 연동해 제휴 판매를 진행 중"이라며 "위메프를 상대로 가압류 등 법적 조치를 준비 중"이라며 "경영상 문제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현재로서 공영홈쇼핑의 정산 금액을 돌려 받을 방법 또한 막연한 상황이다. 위메프는 지난 7월 29일 기업회생을 신청한 상태다.
이번 사태를 키운 주된 이유로는 상품 비중 또한 꼽혔다. 공영홈쇼핑은 농축수산물의 판로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됐지만 여행상품과 문화서비스를 집중 편성한 것이 정산금 문제에 영향을 끼쳤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출받은 2019년부터 2023년 8월 방송편성표 분석 결과, 문화서비스(상조·렌터카·여행·렌탈)의 78.3%가 프라임 시간에 편성됐다. 여행은 특히 93.3%에 달했다.
신 의원 측은 "올해 방송 승인 당시 제출 서류에 중소기업 제품과 농축수산물 100% 편성했다고 준수 및 이행 성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해 놓고, 상조 및 렌터카 같은 최종 소비품을 중소기업 제품으로 눈속임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