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우리금융저축은행 지주 손자→자회사 편입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3-05 17:01:32
  • -
  • +
  • 인쇄
지주사와 우리금융캐피탈간 주식매매계약 체결
타 자회사와 수평적 지위, 그룹 시너지 및 경쟁력 강화
▲ 우리금융지주가 우리금융저축은행을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사진=우리금융 제공]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우리금융지주가 우리금융저축은행을 자회사로 조직 편입시켜 그룹 시너지 및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5일 우리금융지주(회장 손태승)는 이사회를 열고 우리금융저축은행의 지주 자회사 편입을 위한 우리금융지주와 우리금융캐피탈간 주식매매계약 체결 안건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지주는 이날 우리금융캐피탈과 우리금융저축은행 100% 지분을 현금으로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이달 12일 거래를 종결함으로써 신속하게 자회사 편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앞서, 우리금융지주는 지난해 12월 10일 아주캐피탈(현 우리금융캐피탈)을 인수하면서 아주캐피탈의 100% 자회사인 아주저축은행(현 우리금융저축은행)을 손자회사로 편입한 바 있다.

이번 우리금융저축은행의 자회사 편입으로 우리금융지주는 저축은행 소유와 관련한 금융지주회사법령을 준수하는 한편, 저축은행을 신속하게 타 자회사와 수평적 지위에 올려놓음으로써 그룹의 포트폴리오 구조 및 경영관리 체계를 보다 효율화하게 됐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금융지주회사의 손자회사에 해당하지 않는 업종으로 관련 법령상 인수후 2년 내 지주 자회사로 편입되야 하나, 자회사 관리 및 시너지 등 그룹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저축은행의 자체 경쟁력을 조기에 강화하기 위해 시한보다 앞당겨 자회사로 편입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금융캐피탈은 저축은행 경영관리에 부담을 덜고 본연의 주력사업에 전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지주와 직접 소통하면서 그룹 전략방향에 부합해 자회사로서의 정체성도 빠르게 확립함으로써 지주 체제가 보다 공고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금융저축은행은 1972년 설립된 충청지역 기반의 상호저축은행으로 청주 본점을 비롯해 서울시에 지점 4곳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지주사 100% 자회사로서 지배주주지분 확대에 따른 당기순이익 증가 효과는 물론, 그룹 시너지 및 자체 경쟁력 강화로 그룹의 수익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지난해말 우리 가족이 된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이번 자회사 승격을 계기로 그룹내 서민금융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며, “우리은행 등 자회사들과 함께 코로나19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에 다양한 금융지원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쿠팡, 11월 기념일 수험생·연인 위한 선물·간식 3만여개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쿠팡이 수능 등 다가오는 기념일들을 맞아 수험생과 연인을 위한 간식과 선물 3만여개를 한데 모은 ‘스위트샵’ 기획전을 오는 13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기획전은 △식품 △생활용품 △가전디지털 △로켓프레시 △홈인테리어 △뷰티 △주방용품 △패션 △반려용품 △출산유아 △문구&사무용품 △자동차용품 등 총 12개 카테고리가 참여한다.

2

LG생활건강, APEC 2025 KOREA 공식 협찬사로 힘 보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LG생활건강은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글로벌 정상들의 배우자를 위한 선물로 ‘더후 환유고’를 공식 협찬했다고 2일 밝혔다. ‘환유고’는 30년 장생하는 산삼의 긴 생명력을 바탕으로 한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피부 장수) 연구 철학을 담은 더후 브랜드의 하이엔

3

현대차그룹, APEC 현장서 '엔비디아' 동맹 강화 약속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차그룹)이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개최되는 APEC 현장에서 차세대 AI칩 엔비디아와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블랙웰(NVIDIA Blackwell)' 기반 AI(인공지능) 팩토리 도입을 통해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 혁신을 위한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