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2금융권 10월 가계대출 증가액 1조 돌파 우려...긴급 소집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10-13 09:43:56
  • -
  • +
  • 인쇄
저축은행·보험·여신업계 등 관련협회 회의
은행권 가계대출로 '풍선효과' 가능성 점검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제2금융권의 이달 가계대출 증가액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은행의 가계대출 억제책에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풍선 효과'가 우려가 제기되면서 금융당국은 비은행권인 저축은행, 보험권 등 관련 협회들과 개별 회사들을 긴급 소집한다. 

 

금융당국이 2금융권의 가계대출 '풍선효과'를 우려해 관련협회들과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은행 가계대출을 억누르면서 비은행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늘어나자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오는 15일 상호금융·보험사·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사·협회 관계자들을 불러 가계부채 관리 강화를 주문하는 회의를 연다.

 

지난 11일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2금융권 협회, 5대 시중은행 등을 불러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한 지 나흘 만에 2금융권을 별도로 소집하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억제해야 한다는 압박에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바짝 조인 이후 2금융권으로 가계대출 수요가 몰리는 분위기가 감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달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1조원을 돌파할 지 여부는 풍선효과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전망이다. 2금융권 가계대출이 한 달 동안 1조원 이상 불어났던 건 2022년 5월(1조4000억원)이 마지막이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으로의 대출 이동이 본격화할 경우 추가 규제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현재 50%인 2금융권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한도를 1금융권에 준하는 수준으로 맞추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2금융권 가계대출이 1조 원 이상 불어날 경우 2022년 5월(+1조 4천억 원) 이후 약 2년 반 만에 처음이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에서 2금융권으로 대출 이동이 본격화할 경우 추가 대책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50%인 2금융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한도를 1금융권(40%) 수준으로 맞추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DSR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차주가 1년에 갚아야 할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현재 은행권에선 차주의 DSR이 40%를 넘지 않는 한도 안에서만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