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촌치킨, '용량·배달료 꼼수'인상 논란... 정부 당부 무색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10:20:23
  • -
  • +
  • 인쇄
배달료·슈링크플레이션....정부 감시 피해 인상
가맹점 상대로 소스가격 인상... 본사는 '방긋'

[메가경제=정호 기자] 교촌에프앤비가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 속에서 직접적인 가격 인상 대신 제품 용량 축소와 배달료 인상 등 우회적 방식을 동원하면서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교촌에프앤비는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4,808억원, 영업이익 15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7.9% 급감했다. 영업이익률은 3.2%로 업계 평균을 하회하며, 2023년 248억원에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교촌치킨.[사진=메가경제]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교촌치킨은 올해 들어 제품 용량 축소와 배달앱 가격 인상을 동시에 추진했다. 순살메뉴 14종을 '허니순살(500g)'로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제품 용량을 200g 축소했으나 가격은 동결했다. 또한 허벅지살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닭가슴살을 일부 사용하면서 원가 절감을 꾀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에는 서울 지역 가맹점 과반수가 배달앱 메뉴 가격을 2,000원 인상했다. 기존 2만3,000원이던 치킨이 2만5,000원으로 8.7% 올랐다. 본사는 배달·중개 수수료 부담 증가를 이유로 들었으며, 가맹점주 찬성률은 90%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교촌에프앤비가 자회사를 통한 수직계열화로 수익성을 보완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소스 생산 자회사인 비에이치앤바이오는 2024년 매출 320억원, 영업이익 4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11%, 22% 성장했다. 영업이익률은 12.8%로 모기업을 크게 상회한다.

교촌치킨은 BBQ가 6개 업체에서 소스를 공급받는 것과 달리 모든 소스를 자회사를 통해 가맹점에 납품하고 있다. 가맹점주들은 메뉴 다양화로 12종의 소스를 관리하는 부담이 커진 데다 소스 단가까지 인상되며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교촌치킨의 우회 인상은 이재명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정부는 출범 직후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외식업계에 가격 동결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최근에도 대통령이 관계 부처에 '신속하고 엄정한 물가 관리'를 주문한 바 있다.

교촌치킨은 2021년 말 업계 최초로 제품 가격을 8.1% 인상한 데 이어 2024년 4월 주요 제품을 15~19% 올리며 '가격 인상 선봉장'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우회 인상이 정부의 감시망을 피하려는 시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교촌에프앤비 측은 관련 논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이동환 고양시장, 이재준 수원시장 제치고 K-브랜드지수 경기도 지자체장 부문 1위 영예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경기도 지자체장 부문 1위에 이동환 고양시장이 선정됐다고 1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해당 부문별 트렌드(Trend)·미디어(Media)·소셜(Social)·긍정(Positive)·부정(Negative)·활성화(TA)·커뮤니티(Community)·AI 인덱

2

BYD코리아, BYD Auto 스타필드 시티 명지 부산 전시장 오픈
[메가경제=정호 기자] BYD코리아가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신도시에 BYD Auto 스타필드 시티 명지 부산 전시장을 공식 오픈했다고 1일 밝혔다. 최근 BYD Auto 부산 수영, 창원, 부산 동래 전시장을 순차적으로 오픈한 BYD코리아는 부산·경남 지역의 4번째 거점으로 스타필드 시티 명지 부산 전시장을 오픈하며 고객 서비스 네트워크 강화를

3

현대이지웰, 보건복지부공무원노동조합과 업무협약...복리후생 향상 지원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이지웰이 보건복지부공무원노동조합과 공무원 복리후생 향상 방안 연구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서울 서대문구 현대이지웰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김충진 현대이지웰 복지컨설팅사업부장, 정승문 보건복지부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이지웰과 보건복지부공무원노동조합은 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