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빌 '아르카나 택틱스: 리볼버스', 신규 콘텐츠 '침공' 업데이트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6-18 10:31:14
  • -
  • +
  • 인쇄

게임빌(대표 이용국)은 ‘아르카나 택틱스: 리볼버스’의 글로벌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새로운 콘텐츠들이 대거 등장했다. 최초로 오픈한 ‘침공’은 월드 보스를 처치하는 콘텐츠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아르카나 택틱스 검성, 아수라, 스타게이트 [게임빌 제공]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 오전 4시, 낮 12시와 오후 20시에 각각 3시간 동안 스테이지가 오픈된다. 출현하는 월드 보스는 ‘검성’, ‘아수라’, ‘스타게이트’ 등 3종류로 참여 유저들이 힘을 합쳐야만 처치할 수 있는 강력한 존재다. ‘침공’에 참여하면 보스에게 입히는 피해량에 따라 ‘크리스탈’, ‘골드’와 함께 3종 보스의 ‘영혼석’을 획득할 수 있는 ‘침공 상자’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보스 처치에 가장 큰 기여를 한 플레이어는 추가 보상과 함께 일정 기간동안 ‘명예의 전당’에 노출된다. 이와 함께 ‘균열’ 콘텐츠에도 새로운 던전이 추가됐다. ‘이계의 보물창고’로 이름붙여진 이 던전은 충분한 준비시간과 많은 초기 자원을 활용해 강력한 파티를 구성한 뒤 정해진 시간 동안 보물을 훔쳐간 ‘도둑 고블린’을 처치하는 콘셉트로 진행된다. 처치 결과에 따라 소량의 ‘골드’와 함께 ‘경험치 유물’과 ‘유물’을 획득할 수 있는 ‘고블린 보따리’ 등 풍성한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다양한 시스템들을 개선해 유저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길드’에는 ‘길드 버프 시스템’이 적용됐다. ‘길드 레벨’이 상승하면 각종 능력치를 향상시켜주는 패시브 버프와 피해를 감소시키고, 피해를 증가시키는 액티브 버프 2종을 획득할 수 있다.

새로 도입된 ‘아르카나 분해’는 보유한 아르카나를 분해해 아르카나의 각성옵션을 변경할 수 있는 아이템인 ‘운명석’으로 바꿀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외에도 아르카나를 획득, 각성 시 포인트를 획득해 그에 따라 부가 능력치를 획득할 수 있는 ‘아르카나 포인트 시스템’도 전략적 활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아르카나 택틱스: 리볼버스’는 티키타카 스튜디오(대표 유희상)가 개발하고, 게임빌이 서비스하는 전략형 랜덤 디펜스 RPG로 글로벌 시장에서 폭 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 매 웨이브마다 랜덤으로 주어지는 영웅을 전략적으로 조합해 상위 단계의 영웅으로 만들고, ‘젬’, ‘큐브’ 등 각종 재화들을 활용해 적을 물리치는 독특한 게임성이 특징이다.

자세한 업데이트 내용은 공식 카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