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대구은행, 시중은행 전환 위해 대규모 자본확충 절실

송현섭 / 기사승인 : 2024-01-23 13:51:11
  • -
  • +
  • 인쇄
지난해 그룹차원 증자규모 2000억원대 넘을 듯
시중은행 전환 위한 자본구조계획의 일환 해석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시중은행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DGB대구은행이 손실흡수능력 강화 차원에서 대규모 자본확충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대구은행은 작년 3분기말 기준 자산 70조8032억원, 자본 5조885억원으로 다른 시중은행과 본격적으로 경쟁을 위해 대규모 자본확충이 절실한 상황이다.
 

▲DGB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앞두고 손실흡수능력 강화 차원에서 대규모 자본확충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DGB대구은행 본점 전경 [사진=연합뉴스]

 

실제로 같은 시점 기준 KB국민은행 자본 규모는 35조9569억원, 신한은행이 33조316억원, 하나은행 31조4977억원, 우리은행 26조2195억원 등과는 비교할 대상이 되기도 어려운 처지다.

일단 금융당국에서는 최근 법률적 검토를 마쳤으며 DGB대구은행에서 인가 신청을 받게 되면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힌 만큼 시중은행 전환의 청신호가 켜졌다. 

 

다만 다른 시중은행의 16%에 불과한 자본금으로는 경쟁이 어렵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특히 금융당국에서 요구한 손실흡수능력 강화와 자본확충에 대한 노력이 필수적인 만큼 지난해 6월 2000억원 유상증자에 이어 올해도 이 정도를 넘는 자본확충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DGB대구은행이 올해 자본확충을 추진한다면 DGB금융지주에서 지원받는 방식이 유력하다.

앞서 DGB금융지주가 작년 6월 대구은행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행사 시점에 맞춰 사실상 2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단행한 것과 같은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DGB금융지주 역시 올해도 지난해 수준을 넘는 대구은행 증자지원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역시 시중은행 전환을 위해 필요한 자본구조 계획에 따른 자본확충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의 인가 시점은 다소 유동적이다.  

 

DGB금융그룹 차기 회장 선임을 둘러싼 내홍과 함께 인가를 위한 사업계획과 자본구조계획이 미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현재 과점체제로 굳어진 은행들의 경쟁 강화를 위해 중장기 관점에서 챌린지뱅크 인가 등 추가적인 대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당장 구체적인 챌린지뱅크 플랜은 나오지 않고 있으나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효과를 분석해 다른 대안도 곧 뒤따를 가능성이 있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해서는 지방에 편중된 영업기반을 전국 단위로 확대 개편하는 동시에 대규모 자본확충을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현섭
송현섭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B금융,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28일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산업 재해 예방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언어·문화적 차이로 안전수칙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KB금융은 이번 부산 지역 안전교육을 시작으로 올

2

NH농협은행, 외국인 근로자 위한 'NH K-외국인신용대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NH K-외국인신용대출'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상품은 지난 25일 출시한 NH글로벌위드 패키지의 후속 상품으로 해외인력 유입 증가에 따른 금융 수요에 대응하고, 외국인 고객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대출대상은

3

하나은행,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은행 대표 모바일뱅킹 앱 ‘하나원큐’를 통해 실시간 가상자산 시세와 함께 가상자산과 관련된 유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는 하나은행과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체결한 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