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설사 컨소시엄구성해 리스크 분산, 안정성 추구

장준형 / 기사승인 : 2024-01-17 08:35:36
  • -
  • +
  • 인쇄
업체 간 합종연횡 노하우 및 시너지 기대
입지·브랜드·단지 등 우수 단지 노려야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건설사 컨소시엄 사업이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고 수요자 입장에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분양 시장 뿐만 아니라 재건축·재개발과 같은 도시 정비사업에서도 주목 받고 있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브랜드 건설사가 뭉쳐 컨소시엄을 이루는 경우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각 건설사의 노하우가 담긴 상품을 동시에 누릴 수 있고 브랜드 간 시너지까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은 본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또한 컨소시엄 사업은 주로 재건축·재개발과 같은 정비사업인 경우가 많아 입지가 우수하고 단지 규모가 클수록 지역 내 랜드마크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현대엔지니어링과 DL이앤씨가 작년 11월 서울 송파구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은 152.56대 1의 높은 1순위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작년 8월에 분양한 '둔산 자이 아이파크'는 1순위 평균 경쟁률 68.67대 1을 기록하고 작년 대전 분양 단지 중 최고 경쟁률을 나타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는 1월 경북 포항시 남구 대잠동 일원에서 '힐스테이트 더샵 상생공원'을 분양할 예정이다. 중흥토건과 SK에코플랜트는 1월 광주 남구 송하동 일원에서 '광주 송암공원 중흥S클래스 SK뷰'를 분양할 예정이다.

GS건설, 현대건설은 2월 서울 마포구 공덕동 일원에서 '마포자이힐스테이트'를 분양할 계획이다. 전용면적 59~114㎡, 총 1101세대 중 456세대를 일반 분양한다.

하지만 컨소시엄 아파트의 단점도 분명 따른다. 우선 중요한 공정마다 시공사 간 협의간 필요하다 보니 전체적인 사업진행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에따라 공사비 증대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품질차이에서 오는 하자보수에서 책임 소재가 애매해지면 입주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

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는 "컨소시엄 아파트는 부족한 기술을 상호보완 할 수 있고 각 건설사의 기술들을 결합해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어 시너지 효과를 발생 시킬 수 있다"며 "또한 각 사의 자본력으로 사업 자체가 위험해질 가능성도 매우 낮은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한 분양 관계자는 "다만 컨소시엄 사업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인 흥행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입지, 컨소시엄 브랜드, 단지 규모 등이 우수한 단지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B금융,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28일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산업 재해 예방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언어·문화적 차이로 안전수칙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KB금융은 이번 부산 지역 안전교육을 시작으로 올

2

NH농협은행, 외국인 근로자 위한 'NH K-외국인신용대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NH K-외국인신용대출'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상품은 지난 25일 출시한 NH글로벌위드 패키지의 후속 상품으로 해외인력 유입 증가에 따른 금융 수요에 대응하고, 외국인 고객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대출대상은

3

하나은행,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은행 대표 모바일뱅킹 앱 ‘하나원큐’를 통해 실시간 가상자산 시세와 함께 가상자산과 관련된 유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는 하나은행과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체결한 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