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은정 노무사의 바른산재 길잡이]⑲ 소음성 난청 장해급여 불승인받은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곽은정 / 기사승인 : 2022-09-11 22:08:31
  • -
  • +
  • 인쇄

최근 소음성 난청으로 인한 장해급여 청구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2020년 개정된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처리지침에 따른 변화로 보인다.

종전에는 만60세 이상의 경우 연령보정을 하여 청력상태를 판단하였기에 소음성 난청으로 인하여 장해급여를 받기가 쉽지 않았다. 변경된 지침은 예전의 방식과 다르게 고령자의 경우라도 인정기준을 충족한다면 장해급여를 지급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전에 비해 소음작업으로 인한 재해근로자의 권익을 훨씬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변경된 지침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전과 같은 사유로 불승인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처리기준을 명확히 파악하고 부당한 처분이 내려졌다면 이에 불복하여 정당한 처분을 받아야 할 것이다.
 

▲ [사진=픽사베이 제공]

소음성난청 업무처리기준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노인성 난청의 경우, 소음 직업력이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85dB이상의 소음에 3년 이상 노출)을 충족하고 재해근로자의 노화에 의한 난청임을 입증할 수 없다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하여야 한다. 노인성 난청은 소음성 난청과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렵고, 소음작업을 수행한 경우 노화에 따른 자연경과적 청력손실보다 더욱 빠르게 난청이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합리적인 기준이다.

② 혼합성 난청의 경우, 소음 직업력이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을 충족하고 다른 원인에 의한 난청이 명백하지 않으며 골도청력역치가 40dB 이상이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한다.

혼합성 난청에 해당하는 경우는 대표적으로 소음작업을 수행한 재해근로자가 중이염을 앓고 있는 경우가 있다. 종전에는 중이염이 있는 경우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기 어려웠으나, 변경된 지침에 의하면 중이염이 있는 경우도 충분히 업무상 질병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CT 상 뚜렷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음에도 중이염을 이유로 불승인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검자의 골도청력역치, 소음 노출력 등을 고려하여 불복해볼 만하다.

③ 심도난청(청력역치 91dB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도 소음노출 경력이 인정기준에 부합한다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하여야 한다. 소음성 난청으로 심도난청까지 진행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종전에는 심도난청에 대하여는 장해급여를 지급하지 않았다. 현재는 고강도의 소음(90dB)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음을 입증하여 심도난청의 경우도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소음성난청 업무처리기준의 내용에 따르면, 업무상 질병 인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다른 원인에 따른 난청’임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하여야 한다. 여기에 각 유형별로 다른 조건이 추가되어 있기도 하지만, 위 원칙은 기본적으로 충족하여야 한다.

근로복지공단은 종전과 같이 단순히 전형적인 소음성 난청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불승인할 수 없다. 따라서 직업력과 의무기록 상 다른 원인에 의한 난청인지를 파악하고 명확한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불복하여 권리를 구제받아야 할 것이다.


[노무법인 한국산재보험연구원 곽은정 노무사]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곽은정
곽은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삼성운용, 'KODEX 반도체 투자전략' 웹세미나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삼성 KODEX 반도체 Super Day!’를 주제로 KODEX 반도체 투자전략 웹세미나를 6일 오후 6시에 'KODEX ETF'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웹세미나는 ‘치맥 회동’ 이후 세 거물의 만남이 의미하는 AI반도체의 시장 전망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특히 복잡한

2

현대해상, 신담보 3종 배타적사용권 동시 획득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해상은 '굿앤굿어린이종합보험Q'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치료실 입원 치료 급여금, 척추 전방전위증 진단과 '뉴하이카운전자상해보험'의 관절경 검사 지원비 등 총 3종 담보에 대해 배타적사용권 3개월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현대해상은 최근 증가하는 고위험 임신, 척추질환, 관절질환 등 생애주기별 의료비

3

LG생활건강, 2024 동반성장 최우수 등급 획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LG생활건강이 2024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에 9회째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국내 화장품·생활용품 업계에서 최다 기록이다. LG생활건강은 31일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24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해 5개 등급(최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