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지, '웨타강사: 정주행 입덕클래스' MC 낙점...백호·신비 등 지원사격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6 09:23:3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웨이브(Wavve)가 레전드 명작들을 현 트렌드에 맞춰 새롭게 큐레이팅하는 ‘웨타강사: 정주행 입덕클래스’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격 론칭한다. 

 

▲'웨타강사: 정주행 입덕클래스' 방송 장면. [사진=웨이브]

 

오는 7월 3일(목) 첫 공개되는 ‘웨타강사: 정주행 입덕클래스’(이하 ‘웨타강사’)는 2000년대 초반 ‘신드롬’을 불러일으켰던 예전 명작들을 새롭게 소개하는 토크쇼. 유튜버 찰스엔터가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의 클리셰를 기반으로 줄거리와 캐릭터를 리뷰한 ‘방구석 웨타강사’(2024)의 세계관을 확장한 버전이다. 2025년 새롭게 시작되는 ‘웨타강사’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를 비롯해 ‘핫’한 인기를 모았던 예능까지 돌아보며 새로운 ‘뉴클래식 프로젝트’ 열풍을 부를 전망이다. 

 

‘웨타강사’를 이끌 MC로는 개그우먼 이은지가 낙점됐다. 이은지는 자신이 출연 중인 예능 ‘뿅뿅 지구오락실 시즌3’에서 2004년 출시된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줄거리를 완벽히 복기하는 ‘미사 폐인’ 면모를 보이며,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2차 정주행을 유행시킨 주인공. ‘웨타강사’에서는 자신의 주특기를 살린 ‘Y2K 큐레이터’로 활동한다. 이은지는 ‘웨타강사’에 출연을 확정한 게스트 백호, 크래비티(CRAVITY) 세림&성민, 비비지(VIVIZ) 신비, 스테이씨(STAYC) 수민&재이 등과 함께 로맨스-느와르-막장-예능 등, 시대를 풍미했던 다양한 장르에 관한 토크를 나누며 기성세대와 ‘젠지’들의 대통합을 이뤄낼 예정이다. 

 

이와 관련 26일 공개된 ‘웨타강사’의 티저 영상에서는 ‘Y2K 교수님’으로 변신한 이은지가 자신의 ‘덕메(덕후 메이트)’를 만나 ‘과몰입 토크’를 폭발하는 모습이 담겨 시선을 사로잡았다. 해당 영상에서 이은지는 “옛날 드라마가 다시 열풍”이라며 드라마 ‘파리의 연인’, ‘발리에서 생긴 일’ 등의 ‘레전드 드라마’를 소환한다. 이와 함께 이은지는 수강생으로 함께한 크래비티 세림&성민, 백호와 함께 “사랑하는데 왜 죽여?”, “(상대가) 일단 누군지 몰라야 돼, ‘여기 어디야?’부터 시작해야 돼” 등의 클리셰를 소개하며, 그 시절 드라마의 ‘필승 공식’을 되짚는 등 웃음을 선사한다. 

 

한편 ‘웨타강사’를 기획, 제작한 웨이브는 지난해 ‘내 이름은 김삼순’과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감독이 주요 스태프들과 함께 원작을 신작화하는 ‘뉴클래식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으며, 그 외 다수의 명작들을 4K로 업스케일링해 공급하고 있다. 

 

‘웨타강사’는 7월 3일부터 4주간 매주 목요일 오후 5시 웨이브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