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은진 노무사의 산재 톺아보기]⑤ 일용근로자의 평균임금 산정 방법과 통상근로계수 적용제외 규정

현은진 / 기사승인 : 2022-10-02 23:05:39
  • -
  • +
  • 인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아 휴업급여나 장해급여 등을 지급받는 경우 그 산정의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평균임금이다. 상용근로자의 경우 재해발생일 전 3개월 간 그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누어 평균임금을 산정한다.

그러나 일용근로자의 경우 상용근로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로의 단절이 잦기 때문에 상이한 방법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하게 되는데 일용근로자의 일당에 통상근로계수를 곱한 금액이 바로 그것이다.
 

▲ [사진=픽사베이]

여기서 통상근로계수란 일용근로자의 1개월 간 실제 근무일수 등을 고려하여 노동부 장관이 고시하는 근로계수를 말하는데, 2022년 현재 기준 73/100이다. 일용근로자들의 월 평균 실 근로일수가 22.3일 이기에 이를 기준으로 통상근로계수를 설정한 것이다.(22.3 × 12월/365일≒0.73)

예컨대 일당이 20만원인 일용근로자의 평균임금은 14만6000원이 된다. (200,000원×0.73=146,000원)

다만, 모든 일용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통상근로계수를 적용시키게 되면 형평성이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근로복지공단은 아래와 같이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직권 혹은 신청에 따라 통상근로계수 적용제외가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재해발생일 기준 3개월 이상 계속 근로한 경우와 ▲ 근로관계가 3개월 미만이지만 근로형태가 상용근로자와 비슷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근로복지공단은 직권으로 통상근로계수 적용제외를 하여야 한다.

또한, ▲ 하나의 사업에서 1개월 이상(첫 근무일부터 마지막 날까지 1개월 이상, 실 근로일수 22.3일 이상) 근무한 경우는 물론, ▲ 타 사업 합산 1개월 이상(실 근로일수 22.3일 이상) 근로한 경우에는 근로자 또는 수급권자의 ‘신청’이 있을 시 근로복지공단은 통상근로계수를 적용 제외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적용제외 사유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근로계수가 적용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직권 적용제외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들이 존재하므로 반드시 적절하게 평균임금이 산정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일용근로자의 경우 통상근로계수 적용제외 여부에 따라 지급되는 보험급여의 차이가 상당하므로 반드시 제대로 평균임금이 산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손해를 보는 일이 없어야겠다.

[현은진 노무법인 소망 공인노무사]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현은진
현은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투데이즈카, ‘2025 코리아 세일 페스타’ 맞아 최대 700만원 할인 장기렌트 프로모션 실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국내 장기렌트카 전문 브랜드 투데이즈카(오늘의차)가 ‘2025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맞아 역대급 혜택을 담은 신차 장기렌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투데이즈카 코리아 세일 페스타’는 ‘일년 중 신차장기렌트를 가장 싸게 할 수 있는 기회!’라는 슬로건 아래 11월 한 달간 한정 진행되며, 현대·기아·제네시스 등 국

2

삼성운용, 'KODEX 반도체 투자전략' 웹세미나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삼성 KODEX 반도체 Super Day!’를 주제로 KODEX 반도체 투자전략 웹세미나를 6일 오후 6시에 'KODEX ETF'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웹세미나는 ‘치맥 회동’ 이후 세 거물의 만남이 의미하는 AI반도체의 시장 전망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특히 복잡한

3

현대해상, 신담보 3종 배타적사용권 동시 획득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해상은 '굿앤굿어린이종합보험Q'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치료실 입원 치료 급여금, 척추 전방전위증 진단과 '뉴하이카운전자상해보험'의 관절경 검사 지원비 등 총 3종 담보에 대해 배타적사용권 3개월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현대해상은 최근 증가하는 고위험 임신, 척추질환, 관절질환 등 생애주기별 의료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