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핀테크지원센터, 금융규제 샌드박스 홈페이지 개선 설문조사 진행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6-16 07:52:34
  • -
  • +
  • 인쇄
현장 목소리 반영해 금융규제 샌드박스 홈페이지 개선

금융위원회와 한국핀테크지원센터(이사장 정유신)는 6월 15일부터21일 18시까지 금융규제 샌드박스 홈페이지 개선 설문조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는 금융서비스에 대한 엄격한 규제로 인해 새로운 혁신 금융서비스 출현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2019년 4월 시행된 제도다.
 

▲사진 =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제공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 시행 이후 3년 동안 총 145건의 금융서비스가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으며, 그 중 84건의 서비스는 시장에 출시되는 등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핀테크지원센터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양적 성장에 걸맞은 다양한 수요 및 요구사항을 반영하고자 금융규제 샌드박스 홈페이지 개선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홈페이지 개선을 통해서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더 많은 핀테크 기업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보다 많은 참여를 끌어내는 소통의 장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 핀테크지원센터는 테스트베드 참여 기업을 비롯한 핀테크 기업 관계자, 일반 금융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홈페이지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홈페이지 개선사항을 포함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더 나은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샌드박스 제도 내실화에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정유신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은 “금융규제 샌드박스 홈페이지 개선을 통해서 앞으로 더 많은 핀테크 기업이 혁신 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핀테크 기업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 더 많은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소통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국핀테크지원센터는 강도 높은 규제 환경과 IT 기술에 대한 보수적 금융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설립됐다.

과감한 규제 개선 조치와 함께 핀테크 기업들과 금융권이 함께 토의, 협력할 수 있는 지원과 협력의 장으로 마련됐다.

핀테크 업체들의 다소 불안정한 수익 모델에 대해 금융권의 전문가들이 자문과 멘토링을 제공하고, 보다 완성도 높은 수익모델 창출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 운영 중이다.

핀테크 활성화를 통해 혁신적인 금융생태계를 조성하고 금융소비자의 편익을 제고하며,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지원사업을 진행 중이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