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급성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가 일반인보다 혈액암에 걸릴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권성순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심장내과 교수와 윤석윤 종양혈액내과 교수 연구팀은 미국심장학회가 발행하는 JACC: CardioOncology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급성심근경색과 혈액암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 |
▲ 권성순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심장내과 교수와 윤석윤 종양혈액내과 교수 |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활용해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급성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10만3,686명의 환자와 이들과 연령 및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 10만3,686명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혈액암 발생 위험은 대조군 대비 1.49배 높게 나타났다. 혼란 변수들을 보정한 민감도 분석과 표준화 발생비 분석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확인돼 통계적 신뢰도를 확보했다.
권 교수는 “급성심근경색과 혈액암은 모두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두 질환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심근경색 환자를 장기적으로 관리할 때 혈액암 발병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흔히 발견되는 ‘클론성 조혈증’이 혈액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출발했다”며 “심혈관 질환과 종양질환 간의 교차 위험에 대한 이해가 향후 환자 관리 전략에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생명과학 분야 권위 기관인 BRIC(생물학연구정보센터)의 ‘한국을 빛낸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되기도 했다. ‘한빛사’는 매년 피인용지수 10 이상 또는 분야 상위 3% 이내의 국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국내 연구자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