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안전보건 상생협력 우수기업’ 2년 연속 선정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7 09:53:06
  • -
  • +
  • 인쇄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SK텔레콤은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주관하는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에서 2년 연속으로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SKT는 지난해 통신사 중에서 유일하게 우수기업에 선정된 데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우수기업으로 인정받았다. 올해 ‘안전보건 상생협력 우수기업’에는 SK하이닉스, LG전자 등 20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은 고용노동부의 중대재해감축 로드맵의 핵심사업으로, 2023년 첫 시행 이후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지원 노력과 성과를 평가해 매년 우수기업을 선정, 시상하고 있다.

 

이번에 SKT는 AI 기술을 활용한 안전보건 솔루션 개발과 협력사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소통 활동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SKT는 23년 기지국 철탑 점검 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드론 점검 및 AI 분석 시스템’을 개발한 데 이어, 지난해 계단과 승강기 내 위급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비전 AI 안전관리’ 솔루션을 새롭게 개발, 이를 협력사에 제공해 작업 현장의 안정성을 더했다.

 

이와 함께 QR코드를 통해 위험요소와 개선사항을 실시간 제보하는 ‘안전신문고’, 스마트폰을 통해 잠재 위험요인 영상 콘텐츠를 간단하게 시청할 수 있는 ‘모바일 시청 가이드’, 포스터와 AI 안전영상을 활용한 ‘안전공모전’ 등 협력사 현장작업자들을 위한 소통 프로그램도 지속 운영하고 있다.

 

한편, SKT는 지난 2023년 대전사옥에 안전체험교육관을 열고 협력사 임직원을 대상으로도 안전교육을 지속하고 있다. 교육관에서는 통신업에 특화된 26종의 AR/VR 실감형 체험교육을 제공하며, 지난해 교육 이수자 6천여 명 중 협력사 직원은 5천명에 달한다.

 

SKT는 앞으로도 50인 미만 협력사들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긍정의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포상을 확대해 안전문화 정착을 추진할 예정이다.

 

류정환 SKT 안전보건 최고경영책임자(CSPO)는 “협력사의 안전이 곧 SKT의 안전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협력사 구성원들의 안전보건 역량 강화에 대한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SKT의 상생협력사업 협력사인 오션의 김지환 대표이사는 “대기업의 안전관리 노하우를 참고할 수 있었고, 특히 중소기업 특성에 맞춘 지원으로 위험성 평가 체 계구축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승민 기자
신승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벨킨, Qi2 25W 고속 무선 충전 솔루션 공개…고속 충전의 미래 개척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모바일 액세서리 브랜드 벨킨이 22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선 충전 시장의 비전과 기술 리더십을 제시하며, 세계 최초 Qi2 25W 인증을 획득한 차세대 무선 충전 솔루션 ‘25W UltraCharge’ 시리즈 3종을 공개했다. 벨킨은 전 세계 누적 10억 개 이상의 제품 판매와 미국 모바일 파워 액세서

2

쿠팡, 전남도청·상인연합회와 MOU…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협력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이 전라남도청, 전라남도상인연합회와 손잡고 전통시장 상인의 디지털 전환과 판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2일 오후 1시 30분, 전라남도청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민병기 쿠팡 정책협력실 부사장, 강위원 전라남도 경제부지사, 한승주 전남상인연합회장이 참석한다. 이번 협약은 전남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온라인 진출을 지

3

글램팜, 자사몰 리뉴얼 편의성 극대화…특별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정호 기자] 언일전자의 헤어기기 브랜드 글램팜(GLAMPALM)이 최근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를 위해 온라인 자사몰을 전면 리뉴얼하고 이를 기념해 회원 대상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글램팜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사이트 구조와 화면 구성을 개선하고, 한층 세련된 디자인으로 시각적 만족도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