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13주년 KB금융···윤종규 회장 "최고의 금융플랫폼 기업 만들어야"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9-29 17:16:05
  • -
  • +
  • 인쇄
KB금융지주, 창립 13주년 기념식 개최
▲ 29일 오전 여의도본점 신관에서 개최된 KB금융지주 창립 13주년 기념식에서 윤종규 회장(가운데)이 장기근속직원들에게 감사패를 전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B금융지주 제공]

 

“고객에게 편의, 혜택, 즐거움을 드리는 최고의 금융플랫폼 기업을 만듭시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창립 13주년 기념식에서 10년·20년·30년 장기근속 직원에게 감사의 뜻을 담은 공로패를 전달하고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KB금융지주는 29일 오전 여의도본점 신관에서 온라인 생중계 방식으로 창립 13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윤종규 회장은 KB금융그룹을 믿고 거래해 주시는 고객, 변함없는 성원을 보내주시는 주주 그리고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임직원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또한, 10년·20년·30년간 장기근속한 직원 대상으로 감사의 뜻을 담아 공로패 전달식을 가졌다.


기념사에서 플랫폼 기업과의 경쟁 심화 등 새로운 도전과 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미래 금융을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KB를 만들기 위해 ‘핵심 경쟁력 강화’, ‘최고의 금융플랫폼 구축’, ‘ESG 경영’, ‘개방적·창의적 조직 문화 구현’을 통해 고객에게 사랑받는 ‘No.1 금융플랫폼 기업’을 함께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윤 회장은 계열사별 시장지위 제고를 통한 Top-Tier 도약과 사업 부문별 핵심 Biz 모델을 강화해 수익기반을 확대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또한, “고객과의 모든 접점을 '옴니채널'화 하고, ‘Seamless’ 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에게 편의성과 혜택, 즐거움을 드리는 최고의 금융플랫폼 기업을 만들어 나가자”고 전했다.

평소 ‘ESG경영’을 통해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동반성장 실현, 포용적 금융 역할 강화 그리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임에 최선을 다할 것을 주문해 온 윤 회장은 “ESG경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내일을 만들고, 사회 안전망으로서 금융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4차 산업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며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을 장려하는 창의적인 조직과, 자기주도적 학습 문화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최고의 인재로 거듭나자”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고객중심적 사고와 차별화된 상품,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혜택, 편리함과 즐거움을 드려 경제적으로 좀 더 행복하게 해드리는 것만이 고객의 믿음에 보답하는 길임을 명심하고, 전 계열사가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믿음과 신뢰를 얻기 위해 같이 노력하자”고 끝을 맺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