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신설 투자회사 ‘SK스퀘어’로 출범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8-17 18:21:15
  • -
  • +
  • 인쇄
존속사명은 SK텔레콤을 그대로 유지
4년 내 순자산가치 75조 원 규모 성장 목표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인적분할을 통해 새롭게 출범하는 신설 투자회사의 사명을 ‘SK스퀘어’로 결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존속회사의 사명은 SK텔레콤을 그대로 유지한다.

SK텔레콤은 오는 10월 12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인적분할 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분할기일인 11월 1일 SK텔레콤과 SK스퀘어를 각각 존속회사와 신설회사로 공식 출범한다.
 

▲ SK스퀘어 CI [SK텔레콤 제공]

 

새롭게 탄생하는 SK텔레콤과 SK스퀘어는 각각 통신 기반의 인공지능(AI)‧디지털인프라 사업과 반도체‧정보통신(ICT) 투자 영역에서 성장을 가속화해 SKT 2.0의 시대를 목표로 한다.

‘광장’ 또는 ‘제곱’이라는 의미를 가진 스퀘어(Square)는 다양한 ICT 산업을 아우르고 사회‧주주와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키우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SK스퀘어는 반도체부터 미래혁신기술까지 다양한 ICT 포트폴리오 영역에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ICT 투자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반도체·ICT 영역에서 이와 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적극적 투자와 인수합병 ▲새로운 ICT 포트폴리오 성장 ▲미래성장동력 창출 등을 통해 순자산가치(NAV)를 오는 2025년에는 현재의 세 배인 75조 원 규모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SK스퀘어는 우선 반도체 분야에서 공격적인 투자 및 인수합병 추진 등을 통해 SK하이닉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와 민간이 함께 추진중인 ‘K반도체 벨트’ 조성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또 앱마켓(원스토어), 커머스(11번가), 융합보안(ADT캡스), 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 등 다양한 새 ICT 영역에서도 선제적 투자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양자암호, 디지털 헬스케어, 미래 미디어 콘텐츠 등 고성장 미래혁신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도 이어갈 계획이다.


 
▲ 박정호 SK스퀘어 CEO [SK텔레콤 제공]

 

박정호 SK텔레콤 대표는 오는 10월 임시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11월 공식 출범하는 SK스퀘어 CEO로 선임된다.

박 대표는 “새롭게 출범하는 SK스퀘어는 글로벌 ICT 투자전문기업으로 도약해 반도체 등 미래 핵심산업을 진흥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이윌미디어, 글로벌 숏폼 '혼검:헌터스' 촬영 성료...'꿈에서 자유로' 본격 제작 돌입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아이윌미디어 제작 글로벌 숏폼 드라마 ‘혼검:헌터스’가 지난 9월 말 촬영을 마쳤다. ‘혼검:헌터스’는 유튜버 강무가 여검객 아라치의 혼과 만나 현대 사회에 출몰한 귀물들을 퇴치하는 판타지 액션물이다. 극중 김진환은 ‘강무’ 역을 맡아 첫 주연임에도 깊은 몰입과 섬세한 연기로 제작진의 호평을 받았다. 안재모는 욕망의 메인 빌런으로

2

CJ온스타일, 협력사 지원 AI 데이터 플랫폼 본격 가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온스타일이 협력사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CJ온스타일은 협력사 전용 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본격 가동하며, AI 데이터 분석 등 협력사의 데이터 기반 성장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AI가 매출 데이터뿐 아니라 고객의 소리(VOC)와 리뷰를 정밀 분

3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DF2 사업 접는다..."적자 확대 따른 결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라면세점에 이어 신세계면세점도 인천공항에서 일부 철수 카드를 꺼내들었다. 신세계는 30일 신세계디에프가 이사회를 열어 신세계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2(화장품·향수·주류·담배)권역에 대한 영업을 정지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면세점은 “고환율, 경기 둔화, 주 고객의 구매력 감소 및 소비 패턴의 변화 등 면세 시장에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