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온디바이스 AI 생태계 확대 주도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2-13 07:47:28
  • -
  • +
  • 인쇄
20억개 삼성 하드웨어 기기 연결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빅테크와 AI 협력 증가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삼성전자가 강력한 하드웨어 역량을 기반으로 온디바이스 AI 생태계 확대를 적극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 삼성전자의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폰인 갤럭시 S24 사전개통 첫날 모습 [사진=삼성전자]  

13일 KB증권에 따르면 삼성의 20억개 하드웨어 기기를 개방형 안드로이드 OS와 연결해 글로벌 소프트웨어 업체들과의 AI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자체 AI 확대를 추진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삼성의 방대한 하드웨어 기반을 활용하여 자체 AI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KB증권은 예상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최근 출시한 갤럭시 S24와 갤럭시 북4 시리즈에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AI 기술을 탑재하여 초기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시장 분석에 따르면, 이들 제품의 글로벌 시장 수요는 전작 대비 10~30% 증가하며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추세라면 삼성전자는 2025년까지 갤럭시 S24를 기반으로 온디바이스 AI폰 시장을 선점하여 시장 점유율 5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온디바이스 AI 출하량은 2023년 2900만 대에서 2024년 3억 대, 2025년 4억 5000만 대까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김 연구원은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자체 파운드리 생태계(SAFE) 협력사들과 AI 반도체 설계 및 생산 노하우를 공유하며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하드웨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향후 온디바이스 AI 시장 지배력 확대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삼성전자는 강력한 하드웨어 역량과 안드로이드 개방형 플랫폼을 바탕으로 온디바이스 AI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향해 빠르게 나아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공간의가치, 금융기관 전용 플랫폼 ‘파이퍼 금융기관용’으로 리브랜딩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공간의가치 주식회사는 부동산 자동평가 금융서비스 ‘공간의가치’를 금융기관 전용 플랫폼인 ‘파이퍼 금융기관용’으로 리브랜딩하고, 모바일(iOS·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동시 출시하는 등 서비스를 확장했다고 30일 밝혔다. 공간의가치 주식회사는 토지, 상가, 숙박시설, 공장, 빌라, 오피스텔, 아파트, 단독주택 등 모든 부동산에 대

2

청호나이스, 법인 전용 매트리스 ‘클린핏’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청호나이스가 법인 전용 매트리스 ‘클린핏’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최근 매트리스 렌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청호나이스는 가정용(B2C)에 이어 사업장·공공시설 등 법인(B2B)시장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번에 선보인 ‘클린핏’은 안전성·위생성·내구성을 강화해 다중

3

CJ올리브영, 압구정에 첫 ‘글로벌 미용관광’ 특화매장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기존 '올리브영 압구정로데오점'을 글로벌 미용관광(Beauty Tourism) 특화매장으로 리뉴얼 이전해 30일 재개장한다. 새단장한 매장은 기존(46평) 대비 5배 이상으로 커진 260평 규모다. 미용관광을 위한 방한관광객이 많은 압구정로데오 상권의 특성을 고려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