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시장 10년 후 940조...IRP는 3.8배 성장"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4 11:08:47
  • -
  • +
  • 인쇄
DB·DC형 대비 IRP 비중 증가할 듯

[메가경제=윤중현 기자]국내 퇴직연금시장이 10년 후에는 약 2.5배 정도 커진 940조원 수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3일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약 382조원으로 집계된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 시장이 10년 후인 2033년에는 940조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자료=한국투자신탁운용]

 

퇴직연금 제도별로는 10년간 확정급여형(DB) 1.9배, 확정기여형(DC) 2.6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3.8배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분석됐다.

 

DB형은 지난해 말 기준 205조원으로 전체 퇴직연금시장에서 약 54%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그러나 2033년에는 387조원으로 41%까지 비중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DC형은 101조원에서 265조원으로 규모는 증가하나, 비중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IRP의 경우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시장 규모가 76조원에서 288조원까지 증가해 전체의 약 31% 비중을 차지하며 핵심 시장이 될 전망이다.

 

운용방법별로는 원리금 보장형 상품이 2023년 말 333조원에서 2033년 570조원으로, 실적배당형 상품이 49조원에서 269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DB형 퇴직연금 내 실적배당형 상품구성비는 적립금 운용계획서(IPS) 도입 의무화 제도 정착에 따라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김석진 한투운용 OCIO컨설팅부 부장은 "국내 60세 이상 인구가 현재 1370만명에서 10년 후에는 1870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니즈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고연령대 이직자와 은퇴자 비중이 늘어나며 상대적으로 IRP 시장이 빠르게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2

96세도 문제없다…바른세상병원, 초고령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바른세상병원은 96세 초고령 환자에게 무릎 인공관절치환술(TKR)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술은 관절센터장 정구황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집도했다.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은 늘고 있으나,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는 수술 위험이 높다. 바

3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