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웰스토리, 성장기 프랜차이즈 돕는 '트렌드 F포럼' 개최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0 12:30:25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웰스토리(사장 정해린)가 지난 19일 성장기 프랜차이즈 20여개 사를 초청해 '제 1회 트렌드 F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트렌드 F포럼은 업계 전문가와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여 트렌드를 통해 식음(F&B) 비즈니스의 미래(Future)를 이야기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 삼성웰스토리, 성장기 프랜차이즈 돕는 '트렌드 F포럼' 개최

최근 외식업계는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최신 식음 트렌드를 메뉴와 공간 컨셉 등에 빠르게 반영해 고객 경험을 새롭게 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삼성웰스토리는 식자재 공급 고객사의 성장을 지원하는 360솔루션 제공의 일환으로 지난 2020년부터 매년 F&B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해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으며, 보다 심도 있게 트렌드 인사이트를 전달하기 위해 트렌드 F포럼을 새롭게 개최하게 되었다.

이번 트렌드 F포럼에서는 지난 1월 삼성웰스토리가 발간한 2025 F&B 트렌드 리포트에서 스페셜 인터뷰를 진행한 전문가 3인의 강연과 함께 트렌드 사례 분석, 패널 토의, 트렌드 체험을 포함한 소통의 시간 등이 진행됐다.

먼저 인사이트플랫폼 남민정 대표의 2025년 8대 식음 트렌드 키워드 소개, 특색 있는 공간 기획 전문가인 TDTD 장지호 대표의 공간 기획법, 개성을 살린 브랜드 기획으로 프랜차이즈 성공을 이끈 트렌드빌더 김원빈 대표의 25년 외식사업의 방향에 대한 강연이 진행됐다.

강연이 끝난 후에는 참석자 공통 질문을 토대로 3명의 전문가와 패널 토의를 진행하고 1:1 매칭된 삼성웰스토리의 세일즈 컨설턴트가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성장에 필요한 이슈를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포럼의 마지막은 동굴 콘셉트로 공간 컨설팅을 진행해 MZ 핫플레이스가 된 도래집을 방문해 최신 트렌드가 반영된 공간을 직접 체험해보는 시간으로 이뤄졌다.

삼성웰스토리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성장기에 진입한 프랜차이즈 고객사에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더하고 F&B 업계의 전문가, 리더들 간 폭넓은 소통을 위해 마련된 자리"라며 "포럼에 참여한 고객들이 대형 프랜차이즈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웰스토리는 F&B 업계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웰럽 리더십 아카데미, 신생 프랜차이즈 고객사를 위한 비즈니스 진단 컨설팅 등 고객 비즈니스의 성장 주기에 맞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상생 모델을 선도해가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ODEX 반도체 2종, 반도체 ETF 中 연초 이후 수익률 1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반도체레버리지’와 ‘KODEX AI반도체’가 반도체 ETF 중 각 분야에서 연초 이후 수익률 1위를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KODEX 반도체레버리지는 연초 이후 135.6% 상승하며 국내 상장한 전체 반도체 ETF 중 수익률 1위를 달성했다. KODEX AI반도체는 연초 이후 68.3% 상승했다. 레버

2

교보증권, 디지털 혁신 가속화...'AI 프론티어' 운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교보증권이 전사적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사내 AI 전문가 그룹 ‘AI 프론티어’를 운영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AI 프론티어는 급변하는 금융 환경과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대응해 임직원의 활용 능력을 높이고, 업무 효율과 영업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7월 선발된 구성원들은

3

한국투자증권, 뱅키스 '대학생 모의투자대회' 시상식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본사에서 '뱅키스 대학생 모의투자대회'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7월 7일부터 지난달 8일까지 5주간 진행됐으며, 국내외 대학생 4631명이 참가했다. 이 중 누적 수익률이 가장 높은 개인 참가자 10명과 6개 팀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돼 총 2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