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아픈 손가락 '신세계건설', 유동성 확보 안간힘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5 14:58:06
  • -
  • +
  • 인쇄
조선호텔앤리조트에 레저사업 매각
두 달 새 4000억원 규모 현금 확보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이마트 실적의 발목을 잡고 있는 신세계건설이 사업부문 매각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세계건설은 두 달 새 4000억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하며 업계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안간힘을 쏟고 있다. 

 

▲ 신세계건설 본사. [사진=연합뉴스]

 

지난 14일 신세계건설과 조선호텔앤리조트는 이사회를 열고 신세계건설의 레저사업부문 일체에 대한 영업양수도 계약을 결의했고 공시했다. 신세계건설의 레저사업부문에는 ▲경기 여주시 자유CC(18홀) ▲경기 여주시 트리니티클럽(18홀)과 실내외 물놀이 시설인 ▲아쿠아필드(하남·고양·안성 스타필드 내 3곳), ▲조경사업 등이 속한다. 내달 주주총회를 통해 양수도를 승인하고 4월 말까지 관련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신세계건설은 조선호텔앤리조트에 레저사업부문을 양도함에 따라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양수도를 마무리하면 신세계건설 자본이 약 300억원 늘어나는 효과를 보게 된다. 또 회계상 부채로 인식되는 2700억원 규모의 골프장 회원 입회금도 소멸된다. 이로써 지난해 12월 기준 953% 수준이던 신세계건설 부채비율은 레저 사업부문 매각 및 영랑호리조트 합병 반영 시 400% 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이번 레저사업부문 매각대금은 1819억원에 달한다. 신세계건설이 지난달 2000억원 규모의 사모사채를 발행한 것을 고려하면 2개월 만에 4000억원 이상의 현금을 확보한 것이다.

 

신세계건설은 2022년 미분양이 속출한 대구지역 프로젝트를 대손반영해 영업손실을 지속하고 있다. 회사 측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손실을 1878억1000만원으로 잠정 공시했다. 이는 2022년 영업손실(120억4000만원) 대비 1757억원 급증한 수치다. 모회사인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 기준 첫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22년 영업이익 1357억원을 기록했던 이마트는 영업손실 469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이 이마트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마트는 신세계건설의 지분 42.7%를 가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신세계건설을 비롯한 건설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 리스크가 부각됐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신세계건설의 PF 우발채무는 1340억원 수준이다.

 

신세계건설 관계자는 "레저산업부문 매각을 통해 선제적인 추가 유동성 확보로 재무 구조가 대폭 개선될 예정"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본업인 건설업 분야에서 체질 개선 작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2

96세도 문제없다…바른세상병원, 초고령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바른세상병원은 96세 초고령 환자에게 무릎 인공관절치환술(TKR)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술은 관절센터장 정구황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집도했다.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은 늘고 있으나,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는 수술 위험이 높다. 바

3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