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불확실성 시대의 선봉에 서다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2-14 14:31:29
  • -
  • +
  • 인쇄
25대 회장으로 재추대, 연임 유력...위기 속에서 빛난 리더십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5대 회장으로 재추대된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서울상의는 오는 29일 의원총회를 열어 최 회장을 서울상의 회장에 추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례적으로 서울상의 회장이 대한상의 회장을 겸할 가능성이 높다. 대한상의는 다음 달 21일께 의원총회를 열고 차기 회장을 선임할 예정이다.

 

이번 재추대는 최 회장의 탁월한 리더십과 위기 속에서도 빛난 성과에 대한 재계의 높은 평가를 반영한 결과라는 평가이다.

▲ 사진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CES 2024의 SK 전시관에서 ‘AI 포춘텔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SK그룹]

◆불확실성 시대의 리더십: 과감한 도전과 혁신

최 회장은 SK그룹 회장으로서 환경위기, 사회문제 해결,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경영의 핵심으로 삼는 ESG 경영을 강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특히 수소와 전기차 배터리 투자를 통해 친환경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으며, ‘파이낸셜 스토리’ 구축을 통해 회사 영리뿐만 아니라 ESG 경영까지 함께 성장시키는 새로운 경영 모델을 제시했다.

◆ 글로벌 네트워킹: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최 회장은 뛰어난 글로벌 인맥과 감각을 바탕으로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왔다. 2022년 부산 엑스포 유치 지원 민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활발한 대외활동을 펼쳤고, 미국 등 주요 국가 유력 경제단체 및 싱크탱크 대표들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한국 경제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헌신: 환경 운동과 정부-재계 협력


최 회장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환경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SK그룹에 탄소 감축 DNA를 이식하고 있으며, 베트남 정부와 탄소 배출 감축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국제적인 협력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서 정부와 재계의 소통과 협업을 강화하며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서의 역할: 한국 경제의 중심축

대한상공회의소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아우르는 법정 경제단체로, 한국 경제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최 회장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서 50여 개의 공식 직책을 맡아 정부와 기업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한국 경제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의 재추대는 불확실성 시대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2

96세도 문제없다…바른세상병원, 초고령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바른세상병원은 96세 초고령 환자에게 무릎 인공관절치환술(TKR)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술은 관절센터장 정구황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집도했다.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은 늘고 있으나,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는 수술 위험이 높다. 바

3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