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5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2'에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5G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구현하고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고 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에 참가업체 중 가장 넓은 3596㎡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했다. 2개의 거대 LED 사이니지 월을 이용해 '쇼윈도' 콘셉트의 미디어 월을 전시한다.
![]() |
▲ 삼성전자의 미디어 월 [사진=삼성전자 제공] |
최신 촬영 기법과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디어 월을 구성하고 주요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한다. 개막일 하루 앞서 진행되는 기조연설 주제인 '미래를 위한 동행'을 표현하는 다채로운 영상을 보여준다.
관람객이 삼성 부스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팀삼성' 존을 만나게 된다.
팀삼성은 삼성전자가 차별화된 AI‧IoT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활동이다. TV‧가전에서 모바일 제품까지 다양한 기기를 스마트싱스로 연결해 하나의 팀처럼 유기적 경험을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IoT 허브' 기능을 활용한 ‘2022년형 스마트 TV’ ▲최적의 레시피를 추천해주고 조리기기와 연결해 주는 '스마트싱스 쿠킹' ▲최대 2개월간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해 에너지 절약 계획을 세워주는 '스마트싱스 에너지' 등을 공개한다.
특히 현존 최고 디스플레이 기술을 집약해 출시한 '마이크로 LED' 110형에 이어 101형과 89형 2개 모델을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또한 새롭게 개편된 '스마트 허브'를 도입하고 대체불가능토큰(NFT) 콘텐츠를 구매‧감상할 수 있는 세계 최초 'NFT 플랫폼'을 공개한다. NFT 플랫폼은 혁신성을 인정받아 'CES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다.
모니터 부문에서도 고객 특성에 최적화된 맞춤형 제품을 대거 출시한다.
▲세계 최초 4K 240Hz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네오 G8' ▲전용 화상 카메라와 IoT 허브를 활용한 '스마트 모니터 M8' ▲빛 반사를 줄인 매트 디스플레이 적용 등 크리에이터와 디자이너에 최적화된 '고해상도 모니터 S8' 등이다.
이밖에도 TV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 '나만의 스크린'을 만들어 주는 콘셉트의 제품과 게이밍 시장을 공략하는 새로운 폼팩터의 스크린이 CES 2022 기조연설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이어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을 반영한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 홈'을 해외 시장에 본격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라인업을 공개한다.
특히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더욱 다양해진 냉장고 라인업과 오븐‧전자레인지‧식기세척기를 포함해 '비스포크 키친 패키지'를 전시한다.
'패밀리허브'가 적용된 비스포크 냉장고도 소개한다. 패밀리허브는 지난 2016년부터 연속 7년 'CES 혁신상'을 수상해왔다.
삼성전자는 CES 2022에서 '갤럭시 S21 FE 5G'를 최초로 공개한다.
이 제품은 '갤럭시 S21'에서 갤럭시 팬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능을 엄선해 적용했다. 슬림한 본체와 함께 올리브, 라벤더, 화이트, 그래파이트의 4가지 색상으로 출시된다.
이외에도 '유어 갤럭시. 유어 웨이'를 주제로 전시 공간을 조성한다. '갤럭시 Z 플립 비스포크 에디션'과 '원 UI 4'를 통해 나만의 갤럭시를 꾸밀 수 있는 경험이 제공된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삼성 독자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아바타'와 새로운 '삼성 봇'을 공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미래 홈'을 제안한다.
집을 메타버스와 같은 디지털 세계로 형상화하고 AI 아바타가 현실 세계에서의 고객 위치를 초광대역통신(UWB) 위치 인식 기술로 파악해 스마트 기기로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번 CES에서는 라이프 컴패니언 로봇 2종도 공개된다. '삼성 봇 아이'와 가사 보조 로봇 '삼성 봇 핸디'를 전시해 사용자의 영상 회의를 준비해주거나 저녁 식사 테이블 세팅을 해주는 등의 모습을 시연한다.
![]() |
▲ '삼성 봇 i', '봇 핸디' [사진=삼성전자 제공] |
삼성전자와 하만의 기술을 접목한 전장 기능도 체험해볼 수 있다. 증강현실(AR)기반으로 운전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정보‧내비게이션‧ 도로상황‧위험상황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보여준다.
이에 더해 차량 내부의 카메라를 갤럭시 폰과 갤럭시 워치의 '삼성헬스' 서비스에 연동해 스트레스‧졸음‧주의산만 등 운전자 상태에 따라 차량 환경을 변화시키고 최적의 컨디션으로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도 경험할 수 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