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가연 “전 연인의 연락은 받으나 굳이 만나진 않아”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01 09:00:20
  • -
  • +
  • 인쇄
이별 후 연락에 대해 “받겠지만 만나진 않는다” 의견 가장 많아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이별한 ‘전 연인의 연락’에 대한 남녀의 다양한 의견을 정리한 설문조사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사람들은 이별한 뒤 미련 없이 새로운 만남을 원하기도 하고 간혹 헤어진 연인의 연락을 기다리기도 하나 이번 조사결과는 전 연인에게 섣부른 연락은 피해야 한다는 조언으로 이어진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이별한 ‘전 연인의 연락’에 대한 남녀의 다양한 의견을 정리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가연결혼정보]

 

가연에서 작년 하반기 미혼 남자 110명, 여자 105명 등 총 215명을 상대로 진행한 ‘전 연인에게 연락이 온다면?’ 조사에서 ▲연락은 받지만 만나지는 않는다(41.4%)가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연락을 무시한다(24.2%) ▲연락을 받고 만나본다(21.4%) ▲이미 차단해서 연락받을 일이 없다(10.2%) ▲기타(2.8%) 등 순이었다.

다른 질문으로 ‘전 연인의 흔적 삭제, 어디까지가 정답?’에서는 ▲SNS 속 관련 게시물(60.6%)이 많은 공감을 받았다. 또 ▲주고받은 메시지(17.3%) ▲함께 찍은 사진(12.8%) ▲주고받은 편지(5.8%) ▲주고받은 선물(3.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남자 109명, 여자 117명 등 미혼남녀 총 226명을 상대로 진행됐다.

이에 대해 가연은 주고받은 메시지·사진은 두 사람 사이 추억이지만 SNS와 메신저에 업로드한 게시물은 다수에게 공개된 기록이기 때문에 삭제를 필수라 여길 확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또 물건은 죄가 없다는 인식에 대부분 선물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월수 결혼정보회사 가연 커플매니저는 “많은 남녀가 이별 후 다시 연락할지 참을지 고민하지만 취중에 연락하는 행동은 금물”이라며 “상대도 같은 마음일 확률이 적고 특히 연락에 답이나 회신이 없다면 마음 정리를 빠르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 매니저는 또 “전 연인과 다시 만나는 연애 프로그램이 인기지만 현실에서 아름다운 재회는 그리 쉽지 않고 추억은 추억으로 남기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며 “취미를 갖거나 소개팅을 받거나 결정사를 찾는 등 다양한 활동이 새 인연을 만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결혼정보업체 가연은 1:1 개별 매칭 외에도 매달 미팅파티 행사를 진행하며 자연스러운 만남의 기회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